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자기록〉은 18세기 여성 풍양 조씨의 자전적 회고록으로 가족의 질병과 죽음을 주요 서술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는 조씨가 자신의 전 생애에 걸쳐 가족들의 고통스러운 투병과정과 죽음을 반복적으로 목격하면서 자신의 삶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가족의 질병경험을 선택해 삶을 재구성한 것으로, 질병서사에 주목해 〈자기록〉을 살피는 것은 이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온전하게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조씨가 〈자기록〉에서 가족의 투병과정을 반추하고 일정한 거리를 두며 서사화해가는 과정은 자신의 삶에 주어진 고통의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하면서 자기치유, 자기돌봄으로 나아가는 방편이 된다. 이러한 자기돌봄의 결과는 사회적 영역으로 전이, 확장되는데, 전달과 소통이라는 분명한 목적성을 가지고 저술된 〈자기록〉은 의학 정보가 많지 않던 당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한 의학정보 제공서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며, 가족의 투병과정을 수차례 지켜봐 온 목격자로서 질병과 죽음에 대해 조씨가 체득한 독자적 통찰을 전달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자기록〉에서는 남편 사망 후 남은 가족들이 서로 연대하여 고통과 상처를 회복해가는 모습을 온기 있게 그려냄으로써 인간애를 바탕으로 관계 속에서 공명하는 상호돌봄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자기록〉은 남편을 잃은 여성을 ‘종사(從死)’와 ‘투생(偸生)’ 사이에서 갈등하도록 압박하는 사회에 새로운 담론을 재창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같은 고통을 겪고 있는 당시 여성들에게 치유의 안내서로 기능할 수 있으며, 열녀담론에 대한 대항담론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혐오 감정 동사 유의어의 의미 연구 = Study on the meaning of hate (emotion) verb synonyms : through the analysis of collocation relationships between hate (emotion) verbs and associated nouns : 혐오 감정 동사와 공기하는 명사와의 공기 관계 분석을 통해 최윤 p. 7-37
<파릉기사(巴陵奇事)>에 형상화된 매옥영(梅玉英)의 역할과 성격 = The role and character of Mae Ok-young embodied in Pa-Reung-Ki-Sa 유해인 p. 39-65
질병서사에 내재된 돌봄의 사회적 확장 가능성 = The possibility of social expansion of care inherent in individual illness narratives : the family's experience of illness and the meaning of those memories, as revealed in Jagirok : <자기록>에 나타난 가족의 질병경험과 그 기억의 의미 이은희 p. 67-100

인공지능 창작 주체와 대화적 시쓰기 = Subjects for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alogical poem writing 유가은 p. 101-129
이데올로기와 작가의 관계양상 =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and the writer : focusing on Mokpo poet Shim : 목포 시인 심인섭을 중심으로 이동순 p. 131-151
인공지능과 인간의 새로운 관계 맺기 = Build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 윤이형, 『대니』, 김규림, 『큔, 아름다운 곡선』을 중심으로 진설아 p. 153-180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외국인 학습자의 요구조사 분석 =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requirements for foreign students to improve their Korean writing 왕샤오진, 손경애 p. 181-203
외국인 교환학생 대상 교양한국어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general education courses for foreign exchange students at Sejong University : 세종대학교를 중심으로 장현묵 p. 205-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