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한기는 서양 과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유학자이다. 윤리학적인 면에서, 최한기는 유학자답게 전통 윤리를 계승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그런데 최한기는 전통 윤리를 대표하는 오륜을 편협한 속습(俗習)으로 평가절하하기도 하고, 훌륭한 사람이 치안(治安)에 보탬이 되는 것이 아니라 치안에 보탬이 되는 사람이 바로 훌륭한 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언급은 전통 윤리와 상충하는 측면으로 최한기의 저서 곳곳에 나타난다.

최한기는 오륜을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오륜’과 ‘개인 차원의 오륜’으로 구분하고, 전자를 대선(大善)으로 후자를 소선(小善)으로 평가한다. 오륜이라고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라는 취지에서 오륜에 질적인 차이를 부여한 것이다. 이는 사실상 전통 윤리를 소선(小善)으로 평가절하하고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새로운 윤리관을 제안한 것이다.

모든 사람이 오륜을 실천하는 사회를 추구한 것이 전통 윤리라면, 최한기가 추구한 것은 각 개인이 사회 질서를 인식하고 그 바탕 위에서 오륜을 실천하는 것이다. 사회 질서에 무지한 채 행하는 효는 기껏해야 소선(小善)이기 때문에, 최한기는 수신 → 제가 → 치국의 순서를 뒤집어, 인식의 측면에서는 치국 → 제가 → 수신의 순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한기는 이처럼 대소 포함 관계에 따라 대선(大善)과 소선(小善)의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대소 관계를 재정립했으며, 이로써 새로운 윤리관을 피력하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율곡철학의 일상과 이상의 글로컬 실천 연구 = A study on the glocal practice of everyday life and other things of Yulgok philosophy 유성선 p. 5-23

송계(松溪) 신계성(申季誠)의 시대정신과 그 학술사적 위상 = A study on the spirit of the times and its academic history of Shin Gye-seong(申季誠) 정출헌 p. 25-58

默齋 李貴의 行權에 대한 고찰 = A review of Yi Gui’s following Quan(權) 이상익 p. 59-93

대소 관계의 재정립을 통한 최한기의 새로운 윤리관 = Choe Hangi’s new point of view of ethics by reestablishing inclusion relation 박미라 p. 95-119

마왕퇴백서 『주역』 「소력」편의 정치철학과 관정·형정 논쟁 = The political philosophy in the “Zhaoli” chapter of the Mawangdui Zhouyi silk texts and the rule of generosity-punishment debate 이승율 p. 121-153

韓非子 리더십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On the possibility of modern application of Hanfei-tzu’s leadership : focusing on the concepts of Shi(勢), Fa(法), and Shu(術) : 韓非子의 勢, 法, 術을 중심으로 정용수 p. 155-179

왕양명 지행합일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How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Wang Yangming's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 지행합일의 정당화 논리를 중심으로 선병삼 p. 181-201

지산 배종호 철학의 형성 = A study on the philosophy of Jisan Bae Jong-ho :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and methodology : 입장과 방법론 리기용 p. 203-237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교과 연계 인성교육 방안 탐색 = Exploring character education linked subject to liberal arts fostering global citizens : focusing on humanities reading and storytelling : 인문교양 읽기와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박영민 p. 239-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