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50-60대 고학력 남성이 인식하는 남성다움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고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남성 20명을 심층 면접하여 최종진술문 46개를 선정하였고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와 경험일치도 평정을 거쳐, R-CMap을 사용하여 다차원척도 및 계층적 군집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남성다움에 대한 군집은 ‘가정의 수호자’, ‘강요된 팔방미인’, ‘바깥일에서의 성공’, ‘주입된 영웅의식’, ‘학습된 리더십’, ‘결단과 실행’, ‘전략적 처세’로 나타났다. ‘가정의 수호자’와 ‘결단과 실행’은 중요도가 높았고, ‘바깥일에서의 성공’은 가장 낮았다. 경험일치도는 중요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평점이 낮았다. 본 연구는 50-60대 고학력 남성의 남성다움 파악과 세대별 인식 및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는 삶을 통해 확립되고 변화된 50-60대 남성성의 개념을 밝혀내고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대 청년의 젠더갈등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perception of gender conflicts : focusing on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최바올, 백근영 p. 7-45

선원 지망생의 남녀 성별 인식은 어떠한가? = What is the gender perception of Korean seafarer candidates? : an empirical study on gender sensitivity in maritime college : 해기사 교육의 성인지 감수성 연구 우양호 p. 47-85

50-60대 고학력 남성이 인식하는 남성다움에 대한 개념도 연구 = Concept mapping of masculinity as perceived by highly educated men in their 50s and 60s 강미경, 김모란, 안윤정 p. 87-129

‘We Can Do It!’ 포스터와 ‘리벳공 로지(Rosie the Riveter)’를 둘러싼 젠더정치 = Gender politics surrounding the "we can do it!" poster and the image of Rosie the Riveter 김효영, 문경희 p. 131-176

여신영성: 본질주의 논쟁 다시보기 = Goddess spirituality : revisiting debates over essentialism in dialogue with new materialism : 신유물론과의 관련에서 김명숙 p. 177-212

신자유주의 시대 속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항한 여성 연대의 상상력 = The imagination of women's solidarity against normal family ideology in the neoliberal era : an analysis of the movie Good-bye Single : 영화 <굿바이 싱글>을 중심으로 권현정 p. 213-247

청년 직장인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우울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among young office workers :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sleep disorders and gender : 수면 어려움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난미, 김보경, 정나희 p. 249-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