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박태순의 중편 소설 「뜬눈」, 「밤길의 사람들」, 「미인의 돈」을 중심으로 그의 문학에 내재한 ‘역사의식’을 분석한다. 1964년에 등단한 박태순은 2019년에 작고할 때까지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당대의 정치사회 현실을 반영한 글쓰기를 지속했다. 그의 문학적 여정은 역사적 사실과 상상력을 결합하여 민중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을 담고 있다.

「뜬눈」에서 박태순은 공식기억이 억압하려는 숨겨진 기억을 되살림으로써 민중에 의해 구성된 역사라는 대항기억을 발굴하려는 시도를 드러낸다. 「밤길의 사람들」은 1987년 6월 항쟁을 배경으로 다양한 노동자의 시선을 통해 사회적 모순을 폭로하고 혁명이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미인의 돈」은 혁명의 모순성과 폭력성을 비판하고 1970년대 문학에 담긴 정신을 통해 386세대의 한계를 응시하고 극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박태순의 문학은 역사와 문학을 결합하여 사회적 문제를 비판하고, 당대의 대중에게 시대의 문제를 인식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박태순은 문학이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는 작가적 사명을 바탕으로 문학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즉, 그의 작업은 문학이 단순한 예술적 표현을 넘어 사회적 변혁과 역사적 진실을 추구하는 강력한 도구임을 보여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상(李箱)의 「종생기」 서장(序章)과 전략적 글쓰기 = A case study on the strategic writing of Monsieur Lichan (Lee Sang, YiSang) : analyzing the introduction section of Jongsaenggi : 미해독 암호와 틈새의 판독을 중심으로 구광모, 구교령 p. 1-40

폐허의 봄과 식목(植木)의 상상력 = The spring of ruins and the imagination of tree planting : a study on Yi Sang's poem “Work No. 3” : 이상 시 「작품 제3번」 연구 김대웅 p. 41-67

인공지능을 활용한 문학 이미지 생성 방안 = Creating literary imag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based on Yi Sang's work : 이상 문학을 중심으로 김민지 p. 69-106

이상의 몽타주와 매체 미학 = Montage and media aesthetics of Lee Sang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early talkies : 초기 유성영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선 p. 107-136

‘이상(李箱)’이라는 장르 = The genre of ‘Yi-sang’ : an pursuit towards genreover and a representation of ‘Changjak(創作, creation)’ in Yi-sang texts : 탈장르를 향한 지향과 ‘창작’의 표상 송민호 p. 137-166

중국에서의 이상 문학 수용 과정과 연구 현황 분석 = The reception process and current research status of Yi Sang’s literature in mainland China 유현수, 사책 p. 167-202

김용익 문학의 재창작과 K-문학 = The rewriting of Yong-Ik Kim's literature and K-literature 김민령 p. 203-234

1960년대 『청맥』지(誌)의 ‘장시(長詩)’ 기획과 ‘참여시’의 의미 = The ‘long poem’ project of 『Chungmaek(靑脈)』 magazine in the 1960s and the meaning of ‘poetry of participation’ 김지녀 p. 235-273

박태순 소설에 나타난 역사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Park Tae-sun's novels : focusing on his early, middle, and late works : 초기·중기·후기작을 중심으로 박윤영 p. 275-304

문화통일전선의 관점에서 본 국가 건설기 북한문학의 형성과 전개, 1945.8.15.~1950.6.24 = The role of the cultural unification front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orth Korean literature during nation-building(1945.8.15.~1950.6.24.) 배개화 p. 305-342

오장환 시에 나타난 ‘언어해체’와 ‘항일의식’의 관련성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dissolution of a language’ and ‘anti-Japanese sentiments’ in Oh Jang-Whan’s poetry : focused on the poetic nonsense of 「The War」 : 『전쟁』의 ‘시적 무의미’를 중심으로 최라영 p. 343-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