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서비스 조직에서의 키오스크 도입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고령자는 키오스크 이용 중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 때문에 키오스크를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않는다. 고령자의 키오스크 지속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이들이 키오스크 이용 중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과 기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고령자가 키오스크 이용 중 지각하는 상황적 압력(대기 인원의 수와 연령대)이 신기술 수용 관련 고정관념 위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고령자가 키오스크 이용 중 경험하는 신기술 수용 관련 고정관념 위협, 기술불안, 당혹감 및 키오스크 지속이용의향 간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에서 만 60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가상의 키오스크 이용 시나리오(패스트푸드점 시나리오와 주민센터 시나리오)를 활용한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N = 254)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스트푸드점과 주민센터에서 키오스크 이용 중 고령자가 경험하는 상황적 압력에 따른 신기술 수용 관련 고정관념 위협의 지각 차이는 없었다. 둘째, 패스트푸드점과 주민센터에서 키오스크를 이용할 때 고령자가 지각한 신기술 수용 관련 고정관념 위협이 키오스크 지속이용의향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당혹감에 의해 매개되었다(매개효과: 신기술 수용 관련 고정관념 위협 → 당혹감 → 키오스크 지속이용의향). 또한 고령자가 지각한 신기술 수용 관련 고정관념 위협과 당혹감 간 인과관계는 기술불안에 의해 강화되는 것(조절효과)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의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함의가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