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박계현(1524~1580)은 명종부터 선조 때에 활동한 관료 문신으로, 자는 군옥(君沃), 호는 관원(灌園), 또는 근사재(近思齋)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이조판서 박충원(朴忠元)의 아들이고, 영의정 박승종(朴承宗)의 조부이다. 본고는 1927년 후손이 연활자본으로 간행한 『관원집』을 저본으로 하였다. 그의 시와 그와 교유한 인물들의 문집에 남아 있는 시들을 근거로 그들과의 교유 양상을 살피고 박계현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박계현은 28세에 벼슬에 나아간 뒤부터 57세에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30년 동안 벼슬살이를 계속하였는데 윤원형 일파와 대립하여 함경도, 경상도, 전라도 등 변방의 번진으로 부임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중앙에서는 신광한, 이윤경, 조사수, 홍섬, 노수신, 심수경, 유희춘 등, 관북에서는 백광홍, 조연, 정사룡, 정유길 등, 영남에서는 이황, 이정, 조식 등, 호남에서는 임제, 송인, 기대승 등과 교유하였다. 그가 관료 생활 동안 교유했던 인물들은 기묘명현이나 조광조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그의 시는 크게 세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변방으로 외유가 잦았던 만큼 위국 충정을 드러내었다. 그는 벼슬하면서 범중엄(范仲淹)을 전형으로 삼아 그의 정신을 부절(符節)로 여겼다. 둘째, 내외직을 오가면서 당색을 좋아하지 않았으며, 탈속적 정신세계를 지향하였고, 광풍제월(光風霽月) 같은 고아한 뜻을 품었다. 셋째, 이언적의 문묘 배향과 권벌의 신원을 주장하고, 남계서원의 사액을 주청하는 등 사림의 정신을 잇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고에서 살펴본 그의 관료 생활과 교유 양상을 통해, 당쟁이 싹트기 시작한 정치적 변혁기에 사화를 입은 사림의 정절을 기리고 그 정신을 지켜내었던 그의 삶의 지향을 확인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관원(灌園) 박계현(朴啓賢)의 교유양상과 시세계 연구 = A study on the social interaction patterns and poetic world of Gwan-won(灌園) Park Gye-hyeon(朴啓賢) 김성희 p. 5-32

최영미 시연구 = Choi Young-Mi's poetry study : based on "30 Years Old, the Party is Over" : 『서른, 잔치는 끝났다』를 중심으로 김민지 p. 33-63

밀양의 대지주 유아사 본페이(湯淺凡平)의 제국의회 중의원 의정 활동 = Parliamentary activities of the imperial diet of Yuasa Bonpay, a large landowner in Miryang 배병욱 p. 65-101

초기 지방자치제 하 시의회와 지역 정치 = Establishment of Busan City Council and local politics under the early local autonomy system : 부산시의회의 구성과 정치 활동 전성현 p. 103-140

1960-1970년대 파월 군가를 통해 본 파월 담론의 사회적 구성 = Social composition of Powell's discourse seen through Powell's military songs in the 1960s and 1970s 이진아 p. 141-165

대구·경북지역 중국음식점의 탄생과 발전 과정 = A study on the bir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overseas Chinese restaurant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 화교 중국음식점을 중심으로 이정희 p. 167-194

디지털 인문학 교육·연구를 위한 시스템 환경 = System environment for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and research 서동신 p. 195-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