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명품 소비성향에 초점을 두어 구조를 파악한 후 소비성향에 따라 조사 대상자를 유형화하였다. 추출된 명품 소비성향 유형에 따라 명품구매 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명품구매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2021년 중국 쓰촨성과 충칭직할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405부의 자료를 사용하여 Ward의 계보적 군집분석, 분산분석과 사후검정, 카이제곱 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명품 소비성향은 높지 않은 수준으로 자기만족성향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고, 동조성향이 가장 낮았다. 둘째, 명품 소비성향에 따라 중국 소비자는 4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소비성향 상 집단’은 연령이 상대적으로 높고 직업이 있으며, 반대로 ‘소비성향 하 집단’은 연령이 낮아 학생이거나 무직일 확률이 높았다. 학력은 소비성향이 매우 높거나 혹은 매우 낮은 경우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모든 소비성향이 가장 높은 ‘소비성향 상 집단’은 17.3%였으며, 이들은 9가지 명품 속성에 대한 가치평가를 모두 가장 높게 하였다. 이들은 특히 해외 여행할 때나 특별한 날, 예상치 못한 공돈이 생겼을 때 명품구매를 아주 많이 하며, 친구나 동료와 함께 구매하는 비율이 높으며, 구매 품목으로 의류․신발․가방, 디지털제품이며, 구매이유로 몹시 다양한 이유를 꼽았다. 명품 구매 정보를 잡지에서 얻는 비율이 매우 높고, 명품 재구매 의향 또한 매우 높았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25.9%가 속한 ‘소비성향 중상 집단’은 소비성향 점수가 비교적 높은 유형이며, 명품의 속성에 대한 가치평가에서 심미성과 품질성, 정교성, 한정성, 희소성에 대한 평가를 높게 하였고, 비실용성과 맞춤성에 대해서는 낮은 평가를 하였다. 명품구매 이유로 ‘자기만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정보를 주변 지인에게서 얻는 경향이 있고, 재구매 의향도 높은 편이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28.4%를 차지하는 ‘소비성향 중하 집단’은 자기만족성향을 제외하면 소비 성향이 낮으며 특히 동조성향이 크게 낮다. 이들은 명품의 심미성과 품질성, 정교성, 한정성에 대한 평가는 높게 하였으나 고가성과 비실용성, 맞춤성에 대해서는 낮은 평가를 했다. 품위있는 생활을 위해서 명품을 구매하며, 정보를 주변 지인에게서 얻는 비율이 높고, 재구매 의향도 높은 편이었다. 여섯째, 소비성향이 모두 가장 낮은 집단인 ‘소비성향 하 집단’은 조사대상자의 28.4%를 차지하며, 중국 소비자가 명품의 속성으로 높게 평가한 심미성과 품질성, 정교성만을 높게 평가하였고 나머지 속성에 대해서는 낮은 평가를 하였다. 이들은 명품구매 품목이나 구매이유가 일반적이지 않았고, 재구매 의향이 낮았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