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은 17세기 후반 잉글랜드 국교회 성직자들의 도덕개혁 담론이 그들의 섭리적 세계관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종교개혁 이후 국교회는 신의 섭리가 교회사의 전반적 흐름에 지배적 힘을 행사한다는 역사관을 견지해왔고, 역사 속 재난과 수난의 과정은 신의 징벌을 통한 교화, 더 나아가서 구원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국교회 성직자들은 신의 징벌이 잉글랜드 국교회가 도덕적 타락과 종교적 경신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고 이를 실제 신자들의 도덕적 갱신을 고취하는 논의의 중심에 놓았다. 국교회는 왕정복고 이후 지속적으로 신의 징벌이 잉글랜드인들에게 내려질 수 있다는 종말론적 위기감을 설파하고 속인들의 개인적 회개뿐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참회가 신적 징벌을 회피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강조했다. 이 글은 국교회의 섭리적 관점이 당대 잉글랜드의 영적 상황을 진단하는 데 주된 인식의 틀로 받아들여졌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17세기 후반 국교회 성직자들이 주장한 참회의 성격과 도덕 개혁 논의가 전개되는 논리적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본다.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discourse on moral reform by conformist clergy in the late 17th century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providential worldview. Since the Reformation, the Anglican Church had maintained a historical perspective that God's providence exerted a dominant force over the general flow of church history, believing that the disasters and sufferings throughout histor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through divine punishment and further reform. Therefore, the Anglican clergy recognized divine punishment as an opportunity for her to correct moral decay and religious renewal, placing this at the centre of discussions to inspire the moral renewal of actual believers. After the Restoration, the Church of England continuously propagated an apocalyptic sense of crisis that divine punishment could befall the English people, emphasizing that both individual repentance and national-level penitence were means to avoid divine retribution. This paper meticulously examines the nature of repentance advocated by Anglican clergy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logical process by which discussions on moral reform unfolded,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providential perspective of the Anglican Church was accepted as the main framework for diagnosing the spiritual situation of contemporary England.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