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문화다양성은 다원화되는 현대사회에서 핵심적 가치로 자리 잡고 있다. 2014년 '문화다양성법' 제정 이후 우리나라 문화다양성 교육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정책 시행과 지원이 이뤄져 왔다. 이러한 실정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중학교 수준 문화다양성 교육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문화다양성을 가르치는 주요 교과인 사회과의 교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 인식과 교육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중학교 사회과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태를 파악했다. 설문조사 결과,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은 다양성 가치, 다양성 존중, 다양성 수용으로 범주화되는 인식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문화다양성 교육 실태로는 주로 강의 및 설명을 통해 수업을 하고 있으며,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 내용과 연계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 자료 부족과 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 연수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육과정 문서의 변화, 교육 자료의 개발과 보급, 교수-학습 방법의 공유와 확산,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실천 사례 중심의 예비교사 교육 및 현직교사 연수의 확대를 제안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 글로벌 이슈 중심 사회과 프로젝트 수업이 세계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global issue-centered project based instruction on the cultivation of global citizenship 오고은 p. 59-104

2022 개정 ‘사회와 문화’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쟁점 =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ssues of the 2022 revised ‘Society and Culture’ curriculum 이정우, 은지용, 박선웅, 송미리 p. 1-30

예비교원의 인권교육 경험과 요구 분석 =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demands in human rights education 구정화, 이채영, 송성민 p. 31-58

학교 시민교육의 개념 및 원칙 = Concepts and principle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 dire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educational acceptance of social conflict : 사회적 갈등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시민교육의 방향 옹진환, 김재우 p. 105-141

중학교 사회과 교사의 문화다양성 인식과 문화다양성 교육 실태 분석 = An analysis o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practic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모경환, 남정훈, 진선민 p. 143-168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일반사회 영역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 An analysis of elements of media literacy in the 2022 social studies curriculum : focused on ‘criticizing media’ and ‘creating media content’ : 미디어 비평과 미디어 콘텐츠 생산 측면을 중심으로 설규주 p. 169-205

사회과에서 가치분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How do we understand value analysis in social studies? : revisiting value analysis theory and issues : 가치분석 이론과 쟁점에 대한 재검토 송현정, 강대현, 옹진환 p. 207-246

생성형 AI 시대 사회과교육의 과제에 대한 시론적 고찰 = A preliminary study on the challeng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I : six key questions surrounding the use of ChatGPT : ChatGPT 활용을 둘러싼 6가지 주요 질문들 성경희, 박은아 p. 247-288

사회과 경제 수업에서 데이터 기반 문제중심학습(PBL) 모형 개발과 효과 분석 =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data-driven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or economics classes in social studies 하준호 p. 289-318

다문화수용성이 청소년의 난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n adolescents’ refugee attitudes 홍승표 p. 319-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