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학습나침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기반 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최근 학생 주도성은 인류가 미래사회에서 경험할 수 있는 불확실성, 복잡성, 급변성에 학생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치로써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학생 주도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초등 교육과정 안에서 학생 주도성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담은 실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로의 진입과 교육과정 전환기에 주목받는 학생 주도성 향상 교육을 어떻게 초등 교육과정으로 개발했는지 관찰했다. 그 안에서 교사와 학생들은 어떠한 활동과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교사의 실행연구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나침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했던‘교사 주도성’, 1교실 2교사 수업과 학생 주도 교육과정 평가회로 대표되는 ‘수업 혁신’, 몰입을 위한 기다림과 생각의 덩어리 만들기로 대표되는‘교수학습방법 혁신’, 숙의의 힘 발견으로 대표되는‘수업 성찰’의 모습을 학생 주도성 기반 교육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lementary schools operate a student agency based curriculum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 Compass program. Student agenc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value that allows students to actively respond to the uncertainty, complexity, and rapid change that humanity may experience in future society. Recently, research on student agenc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 but there is a lack of action research that includes efforts to foster student agency with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observed how education to improve student agency,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during the entry into the future society and curriculum transition,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ithin this, the activities and changes shown by teachers and students were analyzed through teacher action research. As a result, 'teacher agency'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Compass program, 'teaching innovation' represented by one classroom with two teachers and student-led curriculum evaluation, ‘Innov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presented by waiting for immersion and creating chunks of thought, The form of ‘class reflection’, represented by the discovery of the power of deliberation, was found in the student agency based curriculu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s of class members’ and learning persistence i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s :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negative emotions : 온라인 자기조절학습과 부정정서의 순차 매개효과 소숙, 김보경 p. 1-21

온라인 학습에서 사후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ost-retrieval practice and feedback types on the accuracy of metacognitive judgm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서일보, 홍주영 p. 23-42

청년 취업자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지니는 매개효과 = The mediating role of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among youth employees : using a causal mediation analysis : 인과매개분석을 활용하여 우예영, 박현정 p. 43-63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과 인지기능 요인 간의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cognitive function factors of children with poor elementary level reading 이경호 p. 65-84

교수설계자를 위한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ChatGPT for instructional designers : focusing on middle-aged and older instructional designers : 중‧장년 교수설계자를 중심으로 이선우, 송진주, 홍수민 p. 85-110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사회쟁점에 대한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lassroom climate on middle school students’ expression of opinion on social issues 김민정 p. 111-133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가 자살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n their risk of suicide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 사회적지지와 외모 만족도의 이중 매개효과 최지현, 김장회 p. 135-151

Rasch 모형을 활용한 청소년기 정서 문제 관련 문항의 타당도 검증 = Validity examination of items related to adolescent emotional problems through Rasch modeling 권순보, 유진은, 최인희 p. 153-172

미래교육 실천을 위한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aching competency diagnostic scale for future education practice : focused on “D” university : D대학을 중심으로 강주리, 김보성, 전미진, 정주영 p. 173-198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well-being program for teachers 한미영 p. 199-221

IB DP(Diploma Programme) 점수 체계와 외국 대학에서의 IB 점수 활용에 대한 이해 = A study of understanding of the IB diploma scoring system and the utilization of IB scores by foreign universities 송슬기, 정문현 p. 223-245

여성의 몸에 대한 여성주의적 이해와 그 교육적 의미 = A feminist understanding of the female body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최훈 p. 247-264

폐교대학 구성원 보호를 위한 정부 지원방안 고찰 = A study on government support to protect members of closed universities 박기석, 신중범 p. 265-288

고등학교 교과 간 통합수업의 설계와 실행방안 = Design and implementation plan for integrated high school curriculum classes : focusing on 'Literature' and 'Ethics and Thoughts’ : ‘문학’과 ‘윤리와 사상’을 중심으로 정보배 p. 289-313

중등학교에서의 학생자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A narrative inquiry on student autonomy experiences in secondary school 박진은 p. 315-336

학생 주도성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on student agency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Learning Compass program : 초등학교 학습나침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동원, 신철균 p. 337-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