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에서 다양한 문헌 자료와 발굴 자료를 종합하여 그동안 경주 천룡사(天⿓寺)의 역사에서 해명되지 못했던 문제들을 풀어보았다.
먼저 『삼국유사』에서 천룡사를 설명하면서 사천왕사(四天王寺)·망덕사(望德寺)의 역사에 등장하는 악붕귀(樂鵬龜)를 출현시킨 것은 천룡사 중건의 명분을 보완하기 위함이었다. ‘신서훈요’의 발견자였던 최제안(崔齊顔, ?~1046)은 천룡사의 지리적 위치가 국운(國運)이 직결된 곳이기에 천룡사를 중건해야 한다는 명분을 강조하였다.
고려후기~조선전기의 천룡사는 규모가 크고 경주에서 위상이 높은 사원이었다. 천룡사 승려곡지(谷之) 대선사(大禪師)와 일연(一然, 1206~1289)과의 인연으로 천룡사가 조계종과 관계가 맺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선 세조가 인출을 명했던 해인사의 대장경 1부를 천룡사에 보관하고 있었으며, 15세기부터 직접 이곳에서 불서를 간행하였다. 발굴 보고서에서 경판고로 추정했던 건물지는 대장경 보관 및 불서 간행과 관련 있을 듯하다. 경주 남산에 김시습의 초상화를 모신 매월당(梅⽉堂)이 있었고, 매월당을 찾던 문인들이 천룡사에 들렀다는 기록이 18세기의 것까지 남아있다.
In this article, I synthesized various literature and excavation materials to solve problems that have not been clarified in the history of Cheonryongsa in Gyeongju.
First, the reason why Akbungwi (樂鵬龜), which appeared in the stories of Sacheonwangsa (四天王寺) and Mangdeoksa (望德寺), appeared in the Cheonryongsa article of Samgukyusa was to supplement the justification for the rebuilding of Cheonryongsa. Choi Je-an (崔齊顔, ?-1046), who was the discoverer of ‘Ten Injunctions (Hunyo Sipcho, 訓要⼗條)’, insisted that Cheonryongsa should be rebuilt because its geographical loc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untry's fortunes.
Cheonryongsa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a high-ranking temple in Gyeongju. In the late Goryeo Dynasty, Cheonryongsa may have belonged to the Jogye Order due to its relationship with Ilyeon (一然, 1206-1289).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heonryongsa kept one copy of the Haeinsa Tripitaka, which King Sejo ordered to withdraw, and published a Buddhist scripture here. There was Maewoldang (梅⽉堂) in Namsan, Gyeongju, where Kim Si-seup's portrait was enshrined. There is a record that writers who visited the Maewoldang stopped by Cheonryongsa until the 18th century.*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