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신라 제26대 진평왕은 ‘한지’에 묻혔다는 장지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진평왕릉, 헌덕왕릉, 설총묘가 크게 진평왕릉으로 비정되고 있다. 최근 전)황복사지에 대한 발굴조사로 인해 동편에 있던 추정 왕릉지를 신문왕릉으로 비정하던 주장들이 설득력을 잃게 됨에 따라 진평왕릉을 신문왕릉으로, 신문왕릉을 효소왕릉으로 보는 견해들이 좀 더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전)황복사지 발굴조사 결과 이곳이 황복사임을 알려주는 문자자료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진평왕릉을 중대의 신문왕릉으로 보는 것에는 신라왕릉의 여러 속성과 맞지 않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1. 장지 기록, 2. 신라왕릉의 봉분 축소 경향, 3. 호석구조, 4. 받침석의 유무, 5. 상석의 유무, 6. 신라왕릉 배치의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중고기 신라왕릉의 특징이자 진평왕릉의 조건을 살펴본 결과 현재의 진평왕릉은 진평왕릉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26th King of Silla Dynasty, King Jinpyeong, has the burial site recorded that he was buried in a ‘Hanji (漢只)’. Through this fact, the current Jinpyeong-wangreung, Heondeok-wangreung and Seolchong-myo are largely positioned as the Jinpyeong-wangreung. Due to the recent excavation survey on Jeon)Hwangbok-sa site with the site of wangreung (royal tomb) on its east side to be contemplated as Sinmun-wangreung (神文王陵), following the loss of persuasive strength of assertions positioning as the Sinmun-wangreung, there is an emergence of opinions that considered Jinpyeong-wangreung as Sinmun-wangreung as well as Sinmun-wangreung as Hyoso-wangreung (孝昭王陵).
However,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survey on Jeon)Hwangbok-sa site, there is no confirmation with written document that this is the place for Hwangbok-sa, and there is an issue that it does not conform to a number of attributes of Silla wangreungs to consider the Jinpyeong-wangreung as the Sinmun-wangreung of the Middle Ages (中代).
Therefore, under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Silla wangreungs during the medieval and the Mid-ancient period (中古期) and the conditions of Jinpyeong-wangregung are taken a look with the focus on progress scheme of 1. Records of tomb side area, 2. Tendency to size-down the tomb rounds of the Silla wangreung, 3. Hoseok structure, 4. Presence of supporting stones, 5. Presence of the stone table in front of a tomb, 5. Silla wangreung arrangement and it is considered to be highly likely that the present Jinpyeong-wangreung is actually Jinpyeong-wangreung.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