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난류 경계층 내부 와류 구조물 형상을 측정하기 위해 열선 유속계(Hot-wire sensor)를 스테퍼 모터 컨트롤러(Stepper motor controller)에 고정하여 측정 지점으로 이동시켰다. 유동장 내 표면 근처 유속은 상대적으로 느려 차후 측정 데이터 해석 시 신호처리 과정에서 전자파 간섭으로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전자파 잡음은 주로 컴퓨터나 기타 전자 장비의 전원 공급에서 발생하는데, 실험 장비 중 전원이 활성화된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에서 전자파 잡음이 열선 유속계와 연결된 BNC 케이블로 유입되었다. 이는 열선 유속계를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 컨트롤러(Motor controller)에 전원 공급이 인가되면, 오실로스코프 화면에 전자파 잡음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열선 유속계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예상치 못한 잡음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감소시키고 측정 과정에서 신호대 잡음비(Signal-to -Noise Ratio, SNR)를 향상하도록 연결 케이블을 차폐시키고 전자파가 차단되는 컴퓨터로 교체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머신러닝 기반 대학생 중도탈락 예측 모델 구현 방안 = Implementing of a machine learning-based college dropout prediction model 노윤정 p. 119-126

포토그래메트리 기반 페이셜 캡처를 통한 버추얼 휴먼 제작 및 활용 = Creating and utilization of virtual human via facial capturing based on photogrammetry 길운, 강해도, 저우자니, 조성훈, 윤태수 p. 113-118

고효율 소형 풍력 발전소 구현을 위한 최적화 운영 체계 연구 = Research on optimized operating systems for implementing high-efficiency small wind power plants 김영부, 박준모 p. 94-99

로봇의 활용증가에 따른 로봇 및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신호처리 전문가 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ethods to train experts in rob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ata signal processing in response to the increased use of robots 주충호, 김대연, 김경호, 권태웅, 손동섭 p. 58-66

다중 손동작 변환을 위한 상태 전이 기반 5손가락 근전전동의수 개발 = Development of five finger type myoelectric hand prosthesis for state transition-based multi-hand gestures change 김승기, 정성윤, 홍범기, 신현준, 김경호, 박세훈 p. 67-76

인공지능(AI) 기반 인사관리의 윤리적·법적 영향 = Ethical and legal implications of AI-based human resources management 이정우, 이정수, 권지훈, 차민이, 김규태 p. 100-112

극성변환이 가능한 하지의지 자석락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a lower limb magnet system capable of polarity conversion 홍범기, 김승기, 박세훈 p. 77-85

Study on minimiz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capture vortex structures in turbulent boundary layer = 경계층 유속 정밀도 증가를 위한 전자파 간섭 최소화 연구 Dong-Hoon Kang, Yong Duck Kang p. 52-57

Evaluation for surfriding/broaching of the IMO second generation intact stability = IMO 2세대 비손상 복원성에 의한 서프라이딩/브로칭 평가 Yong Duck Kang, Sangmok Lee, Daehyeon Kim, Byungyoung Moon p. 8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