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의 징표였던 국회가 살아나야 한다
|
김만흠
|
p. 18-19
|
|
|
|
22대 총선 태풍의 핵으로 떠오를 '이준석 신당'
|
김진호
|
p. 20-23
|
|
|
|
4대그룹, 거센 세대교체 바람 속 혁신형 기술리더 전면에
|
송정훈
|
p. 24-25
|
|
|
|
이준석 신당, '총선영향' 47.1%, '신당지지' 12.0%… '제3당' 지위 확보
|
박명길
|
p. 26-28
|
|
|
|
尹 긍정37.7% 부정59.0%-민주43.6% 국힘38.4%… "TK·충청이 흔들린다"
|
박명길
|
p. 29-31
|
|
|
|
'스윙스테이트' 서울 판세의 핵 '한강벨트' 18개 지역구 : 시도별 총선 전망 서울. 1
|
서경선
|
p. 32-37
|
|
|
|
"한동훈, 총선 전면 나설 듯… 참신함이 강점이지만 '윤석열 쌍둥이'가 한계" : 폴리뉴스 11월 정국좌담회
|
차재원, 황장수, 김능구, 홍형식 [좌담] ; 폴리피플 기획특집부 [정리]
|
p. 38-53
|
|
|
|
장성철 "국힘, 다음주 비대위 뜨고 비대위원장 한동훈, 원희룡 거론" [대담]
|
김능구, 장성철 [대담]
|
p. 54-55
|
|
|
|
"이준석, 주체적으로 국가발전전략 제시하고 신당 만들어나가야" [대담]
|
김능구, 장성철 [대담]
|
p. 56-57
|
|
|
|
"尹, 야당과의 협치가 최고의 선거전략"
|
김능구
|
p. 58-59
|
|
|
|
"이재명, 기득권 포기로 혁신에 앞장서야"
|
김능구
|
p. 60-61
|
|
|
|
"민주당은 일색, 맹종, 성역화… 12월 초 주체적으로 신당 결단" : 이상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5선, 대전 유성구 을) [인터뷰]
|
[인터뷰이]: 이상민 ; 대담: 김능구 ; 정리: 장성열
|
p. 62-67
|
|
|
|
"尹, 이미 레임덕 시작됐다… 한동훈, 尹과 일란성 쌍둥이" : 박지원 전 국정원장(4선 국회의원, 전남 해남 진도·완도 출마예정) [인터뷰]
|
[인터뷰이]: 박지원 ; 대담: 김능구 ; 정리: 김민주
|
p. 68-73
|
|
|
|
"이준석 신당, 대구 민심 결국에는 국민의힘" : 양금희 국회의원(국민의힘, 초선, 대구 북구을) [인터뷰]
|
[인터뷰이]: 양금희 ; 대담: 김능구 ; 정리: 김승훈
|
p. 74-79
|
|
|
|
"경기국제공항, 반도체 부가가치 83% 생산, 경기도에 꼭 필요" :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 [인터뷰]
|
[인터뷰이]: 염태영 ; 대담: 김능구 ; 정리: 김자경
|
p. 80-85
|
|
|
|
새마을금고 중앙회장 후보, 우기만 이사장 출사표 "기득권 카르텔 매듭짓고, 2200만 회원들 위한 조직으로 거듭나야" [인터뷰]
|
우기만 [인터뷰이] ; 김준 [취재]
|
p. 86-88
|
|
|
|
한국인터넷신문협회 "뉴스선택권 원천봉쇄한 포털 '다음'의 악행 강력 규탄"… 30일 '비상총회' 열고 법적 대응
|
박명길
|
p. 90-91
|
|
|
|
이준석 신당 창당 "경험못한 TK, 제3당 충분히 가치있다"… 천하람 "민주당 비명계에 열려있다"
|
장문영
|
p. 92-93
|
|
|
|
친이낙연계 원외 조직 '플랫폼 신당 창당' 선언… "용산·개딸 전체주의 거부"
|
박명길
|
p. 94-95
|
|
|
|
대구 찾은 이준석 "대구 미래 바꾸는 건 정권교체에도 현실 나아지지 못했다는 문제의식"
|
김진호
|
p. 96-97
|
|
|
|
김기현·중진, 尹에 '정면 반기'… 혁신위 '실패' 한동훈 비대위 '물건너가' 尹 리더십 '타격'
|
김승훈
|
p. 98-99
|
|
|
|
한중일 외교장관회의, 26일 부산 개최… 尹 대만 발언·다우닝가 합의에 한중일 정상회의는 '불투명'
|
김승훈
|
p. 100-101
|
|
|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24일부터 나흘간 휴전 개시… 인질 13명·팔 수감자 39명 맞교환
|
김승훈
|
p. 102-103
|
|
|
|
"5,000만의 문법" 존재감 키우는 한동훈… 인요한 "한동훈, 빨리 와서 당 도와야"
|
장문영
|
p. 104-105
|
|
|
|
與野, '이준석·조국 신당설'에 비례대표제 '병립형 회귀'로 무게… 정치 후퇴 비판에 민주당 '전전긍긍'
|
김승훈
|
p. 106-107
|
|
|
|
'윤핵관 불출마' 던진 與혁신위, 결국 수포로 돌아가나
|
김민주
|
p. 108-109
|
|
|
|
'아무개 신당', 이런 표현 이제 그만 씁시다. 기자 여러분!
|
이종훈
|
p. 110-111
|
|
|
|
'싸가지'와 헤어질 결심
|
차재원
|
p. 112-113
|
|
|
|
미국이 국익을 챙기는 한반도 정책과 윤석열 정부의 정치
|
고승우
|
p. 114-115
|
|
|
|
공화주의로 본 김포시 서울 편입과 메가시티
|
한면희
|
p. 116-117
|
|
|
|
김건희 여사의 옷 색이 윤석열 대통령의 넥타이를 결정한다?
|
정연아
|
p. 118-119
|
|
|
|
비겁한 순간의 권력자들. 4, 시대를 건 승부, 카탈라우눔 전투
|
최봉수
|
p. 120-121
|
|
|
|
초고령사회, 이장의 권한과 역할 가중
|
이경아
|
p. 122-123
|
|
|
|
어장과 복지
|
김경옥
|
p. 124-125
|
|
|
|
KB금융 양종희號 출범 후 부회장 잇따라 사임
|
김지혜
|
p. 126
|
|
|
|
올해 말 임기 만료 한국거래소 이사장 차기 후보 하마평 무성
|
김지혜
|
p. 127
|
|
|
|
새 은행연합회장에 조용병 내정… 은행권 현안 과제 '수두룩'
|
김지혜
|
p. 128
|
|
|
|
4000억원대 손실 떠안은 키움증권 차기 대표 선임 논의 본격화
|
김지혜
|
p. 129
|
|
|
|
시중은행 'AI 은행원' 개발 속도 높인다
|
김지혜
|
p. 130
|
|
|
|
금융권, 대통령 '은행 갑질' 지적에 상생금융 확대 방안 마련 나서
|
김지혜
|
p. 131
|
|
|
|
'실거주 의무 폐지' 국회 논의 세월만 간다
|
류진
|
p. 132
|
|
|
|
현대차·기아, '역대급 실적'에 기부 '쭉↑'… 삼성전자보다 더 냈다
|
류진
|
p. 133
|
|
|
|
11月 중순 수출 2.2%↑… 반도체·승용차 수출 활기
|
류진
|
p. 134
|
|
|
|
'흑자?' 한국전력, 올해 7조원대 영업손실 예상
|
류진
|
p. 135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