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중 전통 예인 집단의 종교적 기념 의례 비교 연구 = A comparison of the religious commemorative ritual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ist groups i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Korea's Seonsaenganje and China's Xingyeshen rituals : 한국의 선생안제(先生案祭)와 중국의 행업신 제사(行業神祭祀)를 중심으로 송미경, 전사우 p. 7-52
李奎報와 劉克莊의 사회시에 드러난 우국우민 의식 = Patriotic and people-loving consciousness in Lee Gyu-bo's and Liu Kezhuang's social poetry 이명주, 김성문 p. 53-81
와 웹툰 <우렁각시>를 중심으로"> <우렁각시> 설화의 현대적 변용과 남녀 관계 = Modern adaptations of the "Wooreonggaksi" (Snail Bride) folktale and gender relationships : focusing on the novel The Story of My Bachelor in a Shell and the webtoon "Wooreonggaksi" : 소설 <나의 우렁 총각 이야기>와 웹툰 <우렁각시>를 중심으로 仲樺, 이명현 p. 83-112
1920년대 한중 여성 극작가의 자기 서사 무대 재현 방식 연구 = The method of reproduction of the self-narrative stage by Korean and Chinese female playwrights in the 1920s : focusing on Kim Myung-soon and Bai Wei's plays : 김명순과 바이웨이(白薇) 희곡을 중심으로 정병혜 p. 113-149
2000년대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문학적 응전 양상 연구 = Diaspora and literary engagement in Korean-Chinese novels of the 2000s : centering on the novels of Geum Hee and Quan Chunhua : 금희, 전춘화의 소설을 중심으로 조동범 p. 151-176
트랜스내셔널 ‘위안부’ 서사 연구 = A study on the transnational 'military sexual slavery' narrative : focusing on "Comfort Women" and "Tastes Like War" : 『종군위안부』와 『전쟁 같은 맛』을 중심으로 타이페이한 p. 177-209
사데크 헤다야트의 『눈먼 부엉이』와 배수아의 『알려지지 않은 밤과 하루』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f Sadegh Hedayat's 'The Blind Owl' and Bae Suah's 'Untold Night and Day' : focusing on narrative perspective and dream : 서술 시점의 차이와 꿈을 중심으로 칼릴리 파테메 p. 211-255
고소설 <심청전>의 해석 관점과 향유 경험의 확장을 위한 소셜미디어 활용법 = Current senses and media experience in interpreting SimCheong-Jeon : a case study on the using social media and media content in the education of old novels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고소설 교양 교육의 한 사례 김지연 p. 259-300
귀환서사 <김영철전>에 나타난 자기정체성과 장소감 = Personal identity and sense of place in the return narrative of Kimyoungcheoljeon 백지민 p. 301-328
야담 속 조상귀신의 형상과 의미 = The images and meanings of the ancestral god in Yadam 권기성, 윤정안 p. 329-378
배삼식 희곡 <화전가>에 나타난 화전가류 가사의 극적 변용을 위한 장치 = The dramatic devices for theatrical adaptation in Bae Sam-sik's play "Hwajeonga" 권순대 p. 381-409
박양균 시의 미적 원리로서 경계와 균형 = Boundaries and balance as aesthetic principles of Park Yang-kyun's poetry 남승원 p. 411-442
허수경 시 다시 읽기 = Re-reading Heo Soo-kyung poetry : diaspora, corpse, authenticity : 디아스포라, 시체, 진정성 방승호 p. 443-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