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부족한 연희 연구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 범위를 넓히기 위해 개항 이후 조선에 들어 온 외국인의 기록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조선 후기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들은 조선을 관광하면서, 다양한 전통 연희를 접하고, 그 내용이나 상황을 글로 남겼다. 이 논문에서는 그 기록들 중에서 특히 공연 공간과 관련된 자료들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조선 왕실은 외국인들에게 사찰이나 전통 한옥에서 조선의 다양한 연희를 제공하였다. 사찰과 개인 주택의 공연은 당시 중국에서도 일반적인 공연 형태였다. 그러나 사찰에서의 실내 공연이나 한옥을 관람석으로 이용하는 방법 등에서 중국과의 차이를 발견하고, 조선 연희 문화의 독자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외국인의 기록에서, 전통 무용인 ‘전기춤’의 흔적을 발견하였고, 기존 논의의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었다.

현재 연희와 관련된 외국인의 기록은 여기저기 산재해 있어, 그 양이나 내용을 가늠하기 어렵다. 이번 연구는 외국인 기록물을 이용한 연희 연구의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새로운 기록의 발굴은 연구 자료를 풍성하게 함으로써 전통 연희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민 형성 순화어의 형성 과정 검토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itizen refined words' : focusing on onomasiological approach : 표현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량량 p. 5-40
런던본 《삼강행실도》의 언어 사용과 간행 시기 = Language use and publication period of London version Samganghaengsildo 김주필, 최광원 p. 41-80
조선 후기 연희 문화의 독자적 면모 = The unique aspects of Yeonhee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performance space : 공연 공간을 중심으로 이경진 p. 81-110

가사를 통해 본 노년의 몸의 인식과 삶의 태도 = A perception of the body and attitude of life in old age through Gasa 정인숙 p. 111-140
‘젊은작가상’ 15년 데이터 기반 한국문학의 디지털인문학적 진단 = 'Young Writer's Awards' : 비평 기능의 전이와 확산을 중심으로 : a digital humanities diagnosis of Korean literature based on 15 years of data : focusing on the transfer and spread of the critique 박선영, 최서진, 전성규 p. 141-182
공간화한 시차(時差)와 진실을 말하고 싶은 정념 = The spatialized time-difference and passion to tell the truth : the meaning of The Sun in the Ground(2006) by Kim Seok-bum : 김석범 소설집 『땅속의 태양』(2006)의 의미 장인수 p. 183-210
다문화 아동의 문법 교육을 위한 일고찰 = A study on grammar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 based on an analysis of grammatical items in children's literature corpus : 동화 말뭉치의 문법 항목 분석을 바탕으로 박지순 p. 211-242
‘표기, 문법, 사전’의 상호 작용과 한국어 교육 내용 구성 방안 = Interaction of norms, grammar, and dictionary and plan for organiz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김지윤, 정희창 p. 243-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