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논산시 연산문화창고 시설 기반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 강화 지원사업으로 자체 개발한 가족 참여형 통합예술교육‘꼬물꼬물 가족 놀이터’프로그램 사례 연구이다. 이번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는 하워드 가드너 8가지 다중 지능 이론과 예술적 사고 습관 습득을 기반으로 프로그램 실효성과 활성화에 강조점을 두었다. 지역 문화 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일반적인 단일 예술 과목 교육 프로그램과 달리, 다른 예술적 배경을 가진 세 명의 주 강사 중 통합예술교육 전문 강사인 한 명이 총괄 기획한 후 나머지 두 명과 진행한 2023년 9월 9일-11월 18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 1~9차시, 6~7세 유아 10명과 보호자 10명으로 구성된 가족 참여형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정량적 성과 회차별 92퍼센트 참여율과 정성적 성과 5점 만점에 평균 4.8점의 높은 참여자 강의 만족도 조사 결과로 증명된 이번 프로그램 학습 내용은 지역 사회의 통합예술교육 기회와 수업 질적 향상, 음악 전공 졸업생의 진로 탐색,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나아가 명화, 음악 감상을 통한 예술적 사고 습관, 과학, 역사, 수학, 발표력, 사회성, 자연 친화력, 자아 존중감, 창의력, 발표력, 심미안 등이 유아기 발달 과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the family-participatory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Family Playground' developed independently as a support project to strengthen the field capac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ors based on the facilities of Nonsan City's Yeonsan Culture Warehouse. The learning goal of this program was based on Howard Gardner's eight theorie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acquiring artistic thinking habits, with an emphasis on program effectiveness and activation. In order to revitaliz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unlike general single arts subject education programs, out of the three main instructors with different artistic backgrounds, one of the three main instructors specializing in integrated arts education planned the program and conducted it with the other two on September 9, 2023. It is a family-participatory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10 children aged 6 to 7 and 10 guardians, from Sunday to November 18, Saturday from 10:00 am to 12:00 pm, 1st to 9th sessions. Quantitative performance: 92% participation rate per session and qualitative performance: The content of this program, as evidenced by the lecture satisfaction survey results of high participants with an average of 4.8 points out of 5, provides opportunities for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the local community, improves class quality,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music graduates. It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material for obtaining specific ideas about career exploration and cultural arts education. Furthermore, the positive influence of artistic thinking habits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and music, science, history, mathematics, presentation skills, social skills, affinity for nature, self-esteem, creativity, presentation skills, and aesthetic sense can be confirmed on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roces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에 나타나는 교사 발문 분석 = An analysis of teacher questions in music listening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김지혜 p. 1-28

가족 참여형 통합예술교육 ‘꼬물꼬물 가족 놀이터’ 프로그램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the family-participatory integrated arts education ‘Family Playground’ program 남경은 p. 29-51

교사 관련 초등음악교육 연구 동향 = Trends in research on elementary music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윤문정 p. 53-69

초등음악교육전공 박사학위 연구자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f doctorate researcher majoring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이상준 p. 71-95

중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음악 수업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music class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선민 p. 97-118

늘봄학교를 위한 음악 교과 연계 디지털 전환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educational program integrating music for Neulbom School 정주연, 이지인 p. 119-145

Two perspectives of one recital = 하나의 독주회에 대한 두 개의 관점 : 피아노 연주 이해에 대한 한국 청중과 중국 청중 간의 차이 :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in understanding piano performance Mengqi Zhang, Hang Su p. 147-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