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경영학의 인사조직 분야를 비롯한 제반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연구방법론인 설문조사에서, 참여자 개개인에게 자신의 응답에 따른 개인별 맞춤 분석 결과, 즉, 개인화된 피드백(personalized feedback)을 제공하는 것의 역할과 효과, 그리고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한다. 주로 의학 분야에서 참여자들의 건강 추적관리와 행동 개선을 위해 활용되어 온 개인화된 피드백을 연구방법론적 시각에서 분석하여 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자기 자신(self)에 대한 정량적 측정과 이해에 대한 미디어와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개인화된 피드백의 제공이 설문조사 참여자들의 성실한 응답에 대한 동기를 높이는 유용한 인센티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살피기 위하여, 먼저, 개인화된 피드백의 효과에 관한 이론 및 기존 연구 결과들을 고찰한다. 또한, 실제 인사조직 분야의 연구 맥락에서 개인화된 피드백의 제공이 응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맥락 및 기업 현장의 HR 맥락에서 개인화된 피드백을 효과적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 실제 작성에 도움이 되는 엑셀 활용법을 공유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효용을 얻는 만큼, 설문조사 참여자들 또한 자기 이해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생적 패러다임에 대한 학계와 실무자들의 관심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긍정심리자본의 팀원-팀장 간 일치성과 불일치가 종업원의 이직의도와 역할 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rson-supervisor psychological capital congruence and incongruence on intention to leave and in-role performance 정재윤, 박경원 p. 1-23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전환사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An empirical study on the enforced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of convers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and its effects on converted employee : from an institutional decoupling perspective : 제도적 디커플링 관점에서 본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과정 김대현, 박상언 p. 25-56
평가제도와 보상제도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valuation and reward system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 combined effects of sub-systems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e : 제도 간 결합효과와 연령의 조절효과 이청아, 정동일 p. 57-89
주의 기반 관점(Attention-Based View) 조직 연구의 동향 = Exploring the depths :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attention-based view of the firm 유민준, 오민주, 이경묵 p. 91-110
설문조사에서 개인화된 피드백 제공의 이론과 활용 = Personalized feedback in survey : theories and applications 마성혁, 김자영, 이유우, 이동환 p. 11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