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금융교육의 문제점과 현황을 살펴보고, Covid-19 팬더믹을 경험한 고등학생들에게 대면/비대면의 다양한 금융교육을 제공한 후, 금융 이해력이 향상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교육을 자발적으로 선택하여 스스로 학습한 학생들의 금융 이해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금융교육의 효과를 보기 위해 통제집단은 금융교육을 받기 전 시차를 두고, 두 차례의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금융 이해도 측정 점수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녀간의 금융 이해도 수준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가설 2]에서는 남녀간 금융 이해도 수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공교육의 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이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써 그 중요성에 비해 소외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육은 민간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대면 금융교육과 비대면 금융교육이었다. 또한 금융교육의 제공 기간 역시 학기말 고사가 끝난 이후, 자율교육과정으로 편성된 비교과 수업시간 또는 진로 교과목 시간을 이용하였다. 청소년들의 금융 이해도 수준은 국가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금융 이해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용하여 금융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을 필수화하고, 실용적인 금융교육을 제공해야한다. 또한, 금융감독원 등 다양한 기관에서는 청소년들의 금융교육 프로그램 접근성을 높일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청소년들이 올바른 금융지식을 습득하고 금융행동을 개선할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금융교육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s and current state of finan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examines whether financial litera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ffected by the Covid-19 pandemic, improves after receiving various forms of face-to-face and online financial educ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students who voluntarily chose and independently studied online financial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inancial literacy.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education, a control group underwent two pre-tests before any education,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Additionally, hypothesis 2, which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financial literacy level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outh Korea, financial education remains an elective rather than a mandatory part of the public education curriculum, leading to its relative neglect despite its importance. The study utilized face-to-face financial education from private institutions and online education. This financial education was scheduled during extracurricular class periods or career subject times after semester-end exams. Enhancing adolescent financial literacy is a critical national issue. Therefor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strengthen financial education. This includes integrating financial education into mandatory curricula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providing practical financial education. Additionally, organizations like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should increase accessibility to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ensuring they acquire proper financial knowledge and improve their financial behaviors. Establishing long-term and sustainable financial education policies is essentia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University career and employment education and services impact on career decisions = 대학의 진로 및 취창업 교육과 서비스가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Choi, Jeongmi, Baik, Sangmi, Jin, Sukho p. 1-19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금융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financial educ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홍수희 p. 21-3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 of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 in accounting learning = 회계 학습에서 비대면 교육서비스의 인지된 용이성 및 인지된 유용성과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의 관계 연구 Park, Myeong Jun, Kwak, Jae Woo p. 39-75

한국 상업교육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business education : focusing on text mining approach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 박종화, 박주현, 방성식 p. 77-101

중국정부 재정지출이 가계 소비에 미치는 크라우딩 효과 = The crowding effect of government financial expenditures on household consumption 호방유, 도서흠, 배기수 p. 103-120

국내 주요 지역별 초등학교 학생 수의 변동률과 방향성 분석 = Analysis of changing rate and directions of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ach major region in Korea 최수호, 최정일 p. 121-135

경영자 특성과 ESG등급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EO characteristics and ESG ratings on tax avoidance 심재우 p. 137-155

소자본 외식창업가역량이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capital food entrepreneurs' competency on entrepreneurs' behavior to start-up :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recognition controlled by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창업교육이 조절하는 창업기회인식의 매개효과 이원갑 p. 157-190

예술품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ntecedents of artwork liking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brand orientation : 브랜드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쉬링위, 최세경 p. 191-216

소상공인 예비창업자의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motivation of small business prospective entrepreneu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자기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의 이중매개효과 유경하, 윤병섭 p. 217-254

ESG 경영성과, 경영환경 불확실성과 감사보수 = ESG management performance, business environment uncertainty and audit fees 이결, 박삼복 p. 255-285

특성화고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pprenticeship high school 김인엽 p. 287-309

학교법인 수익용기본재산과 법인책무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asic properties for profit and accountability of school foundation 김우영 p. 311-333

상업계열 직업계 고등학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ommercial vocational high school : 2014 to 2023 :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이정민 p. 335-359

2025년 시행 「국가결산보고서」의 개편에 대한 검토 = Review of the revision of the "Governmental Financial Reports" to be implemented in 2025 김혜수, 정도진 p. 361-378

ESG평가정보와 기업가치가 외국인지분율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SG evaluation information and corporate value on foreign ownership 김동영 p. 379-406

성경의 나눔에 대한 교훈으로서의 ESG 경영 = ESG management as lesson for Bible's sharing 김태석 p. 407-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