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금융교육의 문제점과 현황을 살펴보고, Covid-19 팬더믹을 경험한 고등학생들에게 대면/비대면의 다양한 금융교육을 제공한 후, 금융 이해력이 향상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교육을 자발적으로 선택하여 스스로 학습한 학생들의 금융 이해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금융교육의 효과를 보기 위해 통제집단은 금융교육을 받기 전 시차를 두고, 두 차례의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금융 이해도 측정 점수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녀간의 금융 이해도 수준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가설 2]에서는 남녀간 금융 이해도 수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공교육의 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이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써 그 중요성에 비해 소외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육은 민간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대면 금융교육과 비대면 금융교육이었다. 또한 금융교육의 제공 기간 역시 학기말 고사가 끝난 이후, 자율교육과정으로 편성된 비교과 수업시간 또는 진로 교과목 시간을 이용하였다. 청소년들의 금융 이해도 수준은 국가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금융 이해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용하여 금융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을 필수화하고, 실용적인 금융교육을 제공해야한다. 또한, 금융감독원 등 다양한 기관에서는 청소년들의 금융교육 프로그램 접근성을 높일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청소년들이 올바른 금융지식을 습득하고 금융행동을 개선할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금융교육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s and current state of finan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examines whether financial litera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ffected by the Covid-19 pandemic, improves after receiving various forms of face-to-face and online financial educ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students who voluntarily chose and independently studied online financial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inancial literacy.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education, a control group underwent two pre-tests before any education,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Additionally, hypothesis 2, which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financial literacy level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outh Korea, financial education remains an elective rather than a mandatory part of the public education curriculum, leading to its relative neglect despite its importance. The study utilized face-to-face financial education from private institutions and online education. This financial education was scheduled during extracurricular class periods or career subject times after semester-end exams. Enhancing adolescent financial literacy is a critical national issue. Therefor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strengthen financial education. This includes integrating financial education into mandatory curricula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providing practical financial education. Additionally, organizations like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should increase accessibility to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ensuring they acquire proper financial knowledge and improve their financial behaviors. Establishing long-term and sustainable financial education policies is essential.*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