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구와 어휘는 문법 연구의 기본 단위이며, 일본어 구는 명제와 양태로 구성된다는 관점은 일본어 학계에서 기본적인 이해로 자리 잡고 있다. 일본어 모달리티 연구는 일본어 구의 본질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피할 수 없는 주제이다.
본 연구는 국립국어연구원이 구축한 일본어 연구 및 일본어 교육 문헌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812개의 문서를 기반으로, 1972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현대 일본어 모달리티 연구 논문을 R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정량적 및 시각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51년에 걸친 일본어 양태 연구는 초기 단계, 발전 단계, 성숙과 쇠퇴단계를 거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내용은 단순한 개념적 및 체계적 연구에서 양태 표현 유형 및 범주의 복잡한 연구로 전환되었고, 연구 관점도 단일한 비교 및 구문 연구에서 인지 언어학, 화용론, 코퍼스 언어학 등 다양한 연구로 확장되었다.
미래의 현대 일본어 모달리티 연구는 대인 화용론과 같은 다학제적 분야의 강점을 활용하여 일본어 양태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hrases and vocabulary are the fundamental units of grammatical research, and the perspective that Japanese phrases consist of propositions and modalities has become a basic common understanding within the Japanese linguistic community.
The study of modality in Japanese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in elucidating the essence of Japanese phrases and is an unavoidable theme. This research, based on 812 documents recorded in the Japanese Language Research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Literature Database constr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conducts a quantitative and visualization analysis using R software on contemporary Japanese modality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1972 to 2022.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Japanese modality research over a 51-year period has gone through three stages: an initial stage, a development stage, and a maturity/decline stage. The content of research has transitioned from simple conceptual and systemic studies to complex studies of modality expression types and categories. Furthermore, the research perspectives have expanded from singular comparative and phraseological studies to diverse studies in cognitive linguistics, pragmatics, and corpus linguistics.
It is suggested that future contemporary Japanese modality research can provide new directions for Japanese modality studies by leveraging the strengths of multidisciplinary fields, such as interpersonal pragmatics.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