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고양이 혼인물 중 1806년 간행 소마히토작①『朧月猫の嫁入』(『으스름달 고양이의 혼인』)가, 24년 전인 1782년 간행 쓰쇼작②『去ル御子様御望ニ付猫嫁入』(『모자제분 희망에 따라/고양이의 혼인』)를 전거로 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본문을 인용하면서 양 작품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원작 이용법으로부터 알수 있는 소마히토의 작법상 특질로서 네 가지 경향을 추출할 수 있었다. A・모방중심, B・모방하면서 증보, C・모방하면서 대체, D・창안이다. 구체적으로는 ①의 전 12장면 중 4장면이 창안(D), 8장면이 원작의 모방 중심(A)이거나 모방에다가 증보・대체(B・C)를 실시하는 식이었다.
환언하면 본문을 원문 순서대로 베끼면서, 원문 특유의 어휘 표현까지 스토리의 동일한 진행단계에서 여러 부분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원작을 직접 보면서 인용한 증거라고 판단하였다. 삽화는 인물의 경우 몸짓・자세・성별・복장・표정・뒤돌아 보는 방향, 소도구의 경우 위치 관계, 게다가 전체적인 방 구조 등이 일치하는 점이 원작을 모방한 근거라고 간주하였다.
모방하면서 증보나 대체 수법을 시도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구사하고 있었다. 먼저 단순히 유사어로 바꾼다든지 유사한 문구와 표현을 덧붙이면서 장황한 문장을 만들어간다. 가령, 혼수품・혼수가구・샤미센의 재료・지붕 종류 등을, ①에서는 ②보다 다양하게 덧붙여 서술함으로써 증보하는 방법을 취한다. 한편 삽화의 증보・대체 포인트는, 시점을 멀리 둠으로써 원작보다 공간을 넓게 보이게 하는 것이었다. 이 방법은 조감도의 특색을 지니는 경우가 많았다. 인물은 작아지지만 인원이 증가해서 떠들썩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무대까지 넓어지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소마히토①의 개작 수법의 특징을 정리하자면, 문구 해설과 문구의 교체, 장식적인 언사, 종류의 증가와 설명, 조감도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 또한 ‘모방’이라는 집필 태도를 견지하는 ①이지만,【구성비교표】에서 알 수 있듯이 글・그림 모두가 동일한 의례 장면에서 모방 중심(A)인 경우는 없었으며, 글이 모방 중심이라면 그림은 아이디어(B・C・D)를 섞음으로써 창작품으로서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한다. 원작과의 거리를 두고자 하는 의식은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전거에 없는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을 시도한 부분에 주목함으로써 원작과는 선을 그은 후속작 나름의 독특한 재미, 제작 의도, 효과 또한 추출할 수 있었던 바이다.
One of the works of the “Nekono–yomeiri” Group, “Oborozuki-nekono-yomeiri”(①), published in 1806 by Somahito, is based on Tsusho’s “Saru-okosama Onnozomini-tsuki Nekono-yomeiri”(②), published in 1782, 24 years earlier. I compared and examined both works while quoting the text. As a result, four methods were identified in Somahito’s use of his source material: copying (A), copying and augmentation (B), copying and change (C), and creation (D). Specifically, ① is used in a total of 12 scenes, four of which were creative (D) and eight of which were mainly copies (A), or involved copying with additions and changes (B and C). In other words, while copying the sentences in ② in order, even the expressions of the original text are used in several places, so this can be regarded as evidence of direct imitation of ②. Furthermore, the illustrations match the gestures and postures of the characters, the direction in which they turn, their gender, clothing, facial expressions, the positions of tools, and even the structure of the room. I regard these as proof that the original was copied. However, no matter how much ① focused on imitation, there was no case where the scene, the text, and the illustrations in ② were all “copy(A)”. For example, if the text is mainly an imitation (A), the illustrations were devised (B, C, D). Summarizing Somahito’s adaptation method, the characteristics include commentary on words, alterations, decorations, an increase in types, and an overhead view.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