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에서는 전후 일본 사회에서 보도된 한국 관련 신문 기사의 헤드라인을 수집하여, 그 양적 변화와 내용의변화를 통해전후 일본사회의 한국인식이 언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고찰하였다. 분석에는 요미우리신문과 아사히신문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기간은 1945년 8월 15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로 하였다. 또한 내용 분석은 연대별로 보도량이 최고점인 연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도량의 증감 차이가 큰 일시적 관심기(1945년-1980년대 중반)에는 한국전쟁 휴전, 한일기본조약 체결, 김대중 사건 같은 정치·외교와 한일관계에 관련한 큰 이슈들이 있는 해에 보도량이 급증했으며, 주요 보도 내용은 부정적인 내용이 많았다. 둘째, 보도량이 평균보다 많은 시기가 지속한 관심 상승기(198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에는 서울올림픽, 한일월드컵 같은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개최된 해의 보도량이 특히 많았다. 주요 보도 내용은 비교적 긍정적인 내용이었으며, 경제와 사회・스포츠・문화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관심이 생긴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셋째, 관심 저하기(2000년대 중반-2020년)에는 보도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볼 수 있었다. 이 시기는 북한이 한국을 위협하는 사건들(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 사건)이 발생한 연도에 보도량이 제일 많았으며, 한국의 외교, 특히 남북관계에 관한 관심이 높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일본 사회의 한국 인식이 1980년대 중반부터 긍정적으로 변하기 시작했다는 지적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언급되었지만, 선행연구의 분석은 단편적인 데이터에서 분석되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신문 헤드라인이라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통해 1980년대 중반부터 일본의 한국 관련 보도가 양적 측면에서는 증가하는 추세로 변했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내용이 다양해지고 비교적 긍정적으로 변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선행연구의 지적을 뒷받침할 수있는 결과라고 할수 있겠다.
This paper examines when and how postwar Japanese society's perception of Korea changed through changes in the volume and content of Korea-relate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Japan after the war. Based on the amount and content of newspaper articles, the perception of Korea in postwar Japanese society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temporary interest period, spanning from 1945 to the mid-1980s. During this time, many articles focused on political, diplomatic, and South Korea-Japan relations, with much negative content. Secondly, a period of increasing interest from the mid-1980s to the mid-2000s saw various interests in Korea grow, with more positive content. The third period, from the mid-2000s to 2020, is marked by declining interest. The amount of news reported during this period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while interest in inter-Korean relations remained particularly high.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postwar Japanese society's perception of Korea began to change positively in the mid-1980s, but these studies were limited by their reliance on fragmentary data. In this study, through the headlines of newspaper articles, which are continuous data, it was found that since the mid-1980s, Japan's Korea-related reports have changed quantitatively, with content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relatively more positive. This supports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