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한국 대학교에서 CLIL(내용언어통합형 학습)을 도입한 실천 보고다. 글로벌 인재 글로컬 인재와 같은 세계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사회에 나가려면 문제의식을 갖고 사고력, 판단력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일본 열도 기행”이라고 하는 대학에서의 아카데믹한 일본어 수업을 PBL과 조합했다. 학생은 몇 회에 걸쳐 발표를 하고 자기 발견할 수 있도록 재촉하여 그 발표를 고찰했다.

CLIL에는 Content(내용), Communication(언어·언어 사용), Cognition(사고), Community(협동·이문화 이해)라는 기본 원리로 되어 있는 4개의 C가 있다. 그 4C에 수업 계획을 적용해 사고의 피라미드와 활동을 참고로 수업 설계를 했다. 인풋과 아웃풋의 관계도 생각하여 학습자의 “할 수 있는 것”을 늘려 가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다른 사람의 발표를 통해서 배우는 것과 자유 과제에서 얻는 협동의 배움, 학습자 중심 수업을 목적으로 한 이 수업의 고찰로부터 학생의 발표에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일본어로 배운다” 라고 하는 CLIL의 가능성은 지속 가능한 일본어 교육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日本社会における韓国人長期滞在者の対日観の変容について 安龍洙, 全成燁 p. 7-22

CLILを取り入れた効果的なPBL型日本語授業の実践 : 日本列島紀行において韓国の大学生の発表からの考察 吹上淳子 p. 23-41

ワーキング·ホリデー日本滞在を通した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発音の変化 尾崎ちえり p. 43-62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それ」の使用実態 : C-JASコーパスを中心に 류신애 p. 63-78

초급일본어 교재에 나타나는 일본문화 키워드 분석 및 활용 실태 이남숙 p. 79-96

「の」を介する名詞修飾に関する考察 : 「名詞+での+名詞」構文を事例に 金光成 p. 97-112

한일 기쁨표현 대응관계 : 원작만화와 번역만화를 대상으로 고원영 p. 113-131

문중 ‘というか’의 분석 : 문두 및 문말과의 근접성을 중심으로 劉瑿眞 p. 133-148

会話における人称表現の認知論的考察 : 呼称による人称表現の使用を中心に 金秀珍, 金容美 p. 149-164

『捷解新語』における「ゑい」と「よい」両形の違いについて 趙堈熙 p. 165-188

『源氏物語』における「植物」のイメージから見る女性たちの運命 張夢雅, 李東哲 p. 189-205

大人の<昔話もの>としての一九作合巻『大江山酒顛童子談』の特徴少考 : 筋立て·絵組·文体を中心に 康志賢 p. 207-222

재일문학 작품의 표지 이미지에 드러난 시각의 정치 : 아쿠타가와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박정이 p. 223-240

일본 고전문학 작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영화 『겐지모노가타리 천년의 수수께끼』 로쿠조미야스도코로 캐릭터를 중심으로 전영희 p. 241-258

지방소멸시대에 대응한 한국과 일본의 청년정책 현황 : 일자리정책을 중심으로 전윤선 p. 259-278

近代 韓·日 국정 초등교과서에 수록된 ‘童詩’ 변용 고찰 : <일본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장미경 p. 279-296

일본의 해양 무인무기체계 개발과 한-일 안보 딜레마 : 시론적 고찰 나지원 p. 297-322

『일어일문학』 게재논문의 주제분석 : 일본학 분야(61∼100집)를 중심으로 윤승민 p. 323-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