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햇빛 어른거리는 길 위의 코끼리》는 우밍이의 소설로, 2011년 출판 이후 이미지북, 드라마와 드라마북 등으로 다양한 매체로 변환되어 대만 문학의 다양한 매체 전환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이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먼저 소설 텍스트의 서술 방식과 그 지향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가와 감독이 다른 매체의 특성을 어떻게 활용하여 기억과 역사를 해석하는지를 탐구하였다. 또한, 글의 서술과 영상 언어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대화하는지에 대해서도 심층 분석하였다. 우밍이의 회고적 서술은 삶의 경험과 자아 인식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억의 '진실'은 눈과 마음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변증하며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소설 속 마술사는 모든 사라진 것을 전방위적인 시각으로 다시 볼 수 있게 하여, 이는 소설가 서술의 은유가 된다. 감독은 원작의 핵심 요지를 전제로 하고, 대담하게 텍스트를 해체하여 캐릭터를 다시 조립하며 환생시켰다. 감독은 주인공 샤오부덴이 영화 '연연풍진' 화면 속으로 들어가게 하여, 소설 속 마술사(소설가의 화신)의 99층을 영화 공간으로 대체시켰다. 이는 감독이 영상 매체의 특성(복제 및 클리핑 가능성)을 절묘하게 활용한 것이다. 이는 현실과 허구의 또 다른 뒤바뀜이다. 《햇빛 어른거리는 길 위의 코끼리》는 소설에서 영화·드라마로, 문학 IP의 다매체 전환 잠재력을 보여주며, 지속적으로 주목 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Since its publication in 2011, Wu Ming-Yi's The Magician on the Skywalk has been successively adapted into graphic novels, films, and film scripts, becoming a representative work of multimedia transformation of Taiwanese literature. These adaptations have sparked discussions among readers, viewers, and scholars regarding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transformation of literature across different media, subtly introducing a new literary ecosystem. Focusing on this unique phenomenon,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novel's narrative techniques and themes. Building on this foundation, it explores how novelists and directors leverag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edia to interpret memory and history. Furthermore, it investigates in depth how textual narratives and cinematic languages interact and engage. Wu Ming-Yi's memoir narrativ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ved experiences and self-awareness. Here, the 'truth' of memory can be obtained through iterative dialectic between the eyes and the mind. In the text, the omniscient magician observes even the disappeared past, serving as a metaphor for the third-person narrative. The film director, while adhering to the core of The Magician on the Skywalk, boldly deconstructs the text and reinvents the characters. The scene where Xiaobudian, the main character, steps into the movie Dust in the Wind, is the director's metaphorical transformation of the magician's 99th floor from the novel into a cinematic space. In doing so, the director cleverly leverages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media such as replicability and editability. This is yet another overturning of reality and fiction. As such, The Magician on the Skywalk demonstrates and calls attention to the great potential of literature regarding multimedia transform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악부시 상화가사의 연행 양상에 관한 고찰 = Investigation on the performance aspects of Xianghegeci Yuefu poerty 임도현 p. 1-23

王維 詩 '구름' 이미지의 시기별 특징 연구 = A diachronic analysis of the imagery of clouds in Wang Wei's poetry 류연향, 김준연 p. 25-48

校點本 蘇軾 詩集 2종에 대한 評議 = A review of two collated and punctuated versions of Su Shi's poetry collection 김보경 p. 49-73

사마천(司馬遷)의 '복수(復讐)의 인문학' = The humanities of revenge by Sama Cheon(司馬遷) : re-reading Oh Jaseo Yeoljeon(伍子胥列傳) of Sagi(史記). 2 : 《사기(史記)》<오자서열전(伍子胥列傳)> 다시 읽기. 2 김월회 p. 75-98

공감에서 비난으로 = From empathy to criticism : purpose of Sima Qian and Ban Gu's establish a biography of flatterer : 佞幸에 대한 사마천과 반고의 立傳 취지 양중석 p. 99-113

휴식하는 사회 = Resting society : 19th century Chinese diplomatic envoy and British holiday and vacation : 19세기 중국사절단과 영국의 휴일과 피서 백광준 p. 115-135

텍스트 재사용 탐지 알고리즘을 활용한 《隋唐志傳》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A study on the intertextuality of The Story of Sui and Tang Dynasties(隋唐志傳) using a text reuse detection algorithm 이지원 p. 137-155

民國時期 評劇家들의 문화적 위계에 따른 海派 京劇 관련 글쓰기 양상 고찰 = A study of the writing patterns on Shanghai style Peking opera according to the cultural hierarchy of the drama critics in the China's Republican era 윤지양 p. 157-178

AI시대 중국현당대 문학 텍스트 분석 전략 = Strategies for analyzing Chinese literature texts in the AI era : Word2vec, 감성분석, 네트워크 분석, LDA 분석을 중심으로 박정원 p. 179-225

중국의 저우제룬(周杰倫) 수용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An analysis of critical discourse on China's acceptance of Jay Chou(周杰倫) : focus on the early 'Chinese-style music' : 초기 ‘중국풍 음악’을 중심으로 김민우 p. 227-265

文字·影像·叙事 = Text, visual media, and narrative : multimedia trans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collective memory of The Magician on the Skywalk : 《天桥上的魔术师》的跨媒介转译与集体记忆建构 李淑娟 p. 267-286

‘艾’와 ‘乂’의 의미 공유 과정 탐색 = A study on the process of sharing the meaning of '艾' and '乂' 문수정 p. 287-302

DB 기반 의미지도 자동 설계 플랫폼 구축 모델 = Model for DB-based automated semantic map platform : focusing on the Chinese '推(PUSH)' : 중국어 ‘推(PUSH)’ 개념역을 중심으로 고은미 p. 303-323

动词充当结果补语的语义限制 = Semantic constraints on the verbs as result complements 成巍巍 p. 325-346

《伍倫全備諺解》의 인칭 대명사 연구 = A study on personal pronouns in Wulunquanbeiji 김영옥 p. 347-370

서양 선교사가 학습한 중국어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learned by Western missionaries : focusing on Jesuits and Protestants : 예수회 및 개신교를 위주로 신원철 p. 371-384

필사본 유해류 『漢談官話』의 디지털화 과정과 이체자 처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process of Han-Dam-Gwan-Hwa(漢談官話) and transfer processing of its variant characters 구현아, 신수영, 엄지 p. 385-413

플랫폼 기반 웹툰 중국어 팬 번역 고찰 = An analysis of Chinese fan translations on Naver WEBTOON TRANSLATE : 네이버 WEBTOON TRANSLATE를 중심으로 김혜림 p. 415-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