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紅樓夢》은 인생무상과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독자들은 《紅樓夢》을 읽을 때마다 무한한 감동을 얻는다. 曹雪芹은 자신이 겪었던 경험들을 글로 표현하며 묘사 하나마다 은유와 상징을 담아내었고, 《紅樓夢》에 숨겨진 뜻을 찾아내며 읽는 독서는 독자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기에 《紅樓夢》은 그만큼 매력적인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紅樓夢》은 내용이 방대할 뿐 아니라 등장인물도 많아서 긴 시간을 투자하여 천천히 음미해야 하는 작품으로 특히 어린이 독자나 외국 독자가 읽기 쉽지 않다. 다소 어렵고 난해한 《紅樓夢》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축약본의 역할이 중요한데, 한국에서도 다양한 축약본과 만화로 그려진 《紅樓夢》이 출판되었다.
만화로 구현된 《紅樓夢》은 어린이 독자는 물론 성인 독자도 부담 없이 《紅樓夢》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만화 《紅樓夢》은 다양한 연령층의 독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이야기를 축약하고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원작의 의미를 왜곡하거나 변형하는 상황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에 《紅樓夢》이 만화로 구현되는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독자들이 중국 고전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비록 다양한 시도에서 해석의 오류가 있기도 하지만, 서브컬처의 저급함을 통해 《紅樓夢》이 소비되고 있는 것은 분명 긍정적인 현상이다. 시대는 변화하고 매체는 다양해지며 날로 바뀌는 문화환경 속에서 고전 역시 적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 왜곡되어 이해할 수 없는 모습으로 해석되더라도 다양한 시도를 했다는 것 자체만으로 충분히 의미를 두어야 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고전이 새롭게 해석되고, 기존의 기대 지평을 변화시킬 때, 우리의 사고도 그만큼 더욱 확장될 것이다.
Hong Lou Meng is a work that shows the impermanence of life and deep reflection on life, and readers receive infinite emotion every time they read Hong Lou Meng. Cao Xueqin expresses his experiences in writing, including metaphors and symbols in each description, and reading while discovering the hidden meaning in Hong Lou Meng gives readers pleasure. Because i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Hong Lou Meng is evaluated as an attractive classic.
However, because the content is extensive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is large, the book requires a long period of time to be savored slowly, and is not easy to read, especially for children or foreign readers. The role of an abbreviated version is important in helping to easily read the somewhat difficult book, and in Korea, various abbreviated versions and cartoons of the book were published.
Hong Lou Meng, drawn as a cartoon, allows not only child readers but also adult readers to access Hong Lou Meng without burden. Cartoon comic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attract readers of various age groups, but in the process of condensing the story and expressing it with pictures, there are times when the meaning of the original work is distorted or transformed.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drawing Hong Lou Meng into a cartoon and examine the way Chinese classics communicate with modern culture.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晩唐 李商隱과 北宋 西崑派 멀리서 읽기 | 박민정 | p. 1-23 |
|
|
몽골을 향한 남송 문인의 미묘한 시선 : 《蒙韃備錄》과 《黑韃事略》을 중심으로 | 이은진 | p. 25-46 |
|
|
만화 《紅樓夢》과 지평의 전환 | 김지선 | p. 47-71 |
|
|
근대 중국의 서구 탐색을 ‘보다’ : 薛福成의 『出使英法義比四國日記』 디지털문화지도 구축 방안 | 김화진 | p. 73-99 |
|
|
南国时期田汉戲剧的流浪意识探究 | 滕菲 | p. 101-127 |
|
|
비페이위(畢飛宇)의 《마사지사(推拿)》에 나타난 장애서사의 전유와 윤리적 전회 | 김봉연 | p. 129-155 |
|
|
‘걷기’를 통한 국토 상상의 체화 : 중국 여행 다큐멘터리 <기묘한 도시(奇妙之城)>를 중심으로 | 황정혜 | p. 157-178 |
|
|
중국 웹소설 ‘三生三世’ 시리즈에 나타난 還生과 轉世 연구 | 연소영 | p. 179-201 |
|
|
고대중국어 ‘則’과 ‘而’의 부사 용법 연구 | 조은정 | p. 203-222 |
|
|
현대 중국어 ‘N1+V/A+得+N2+VP’ 구문의 ‘N1’ 의미역 연구 | 이명월, 김영인 | p. 223-246 |
|
|
“X心”类心理动词的语义、句法特征与教学应用 | 金秀贞, 彭静 | p. 247-272 |
|
|
ChatGPT 중국어문학 국내 연구 동향과 중국어 말하기 수업 활용 배경 | 권아린 | p. 273-301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