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불교의 輪迴사상은 業과 緣起, 空과 唯識 사상과 더불어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동시에 인간의 삶과 죽음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다시 태어난다’는 강한 인식을 심어주었다. 윤회와 환생에 관한 내용 및 이와 유사한 轉世에 관련된 내용도 불교 경전의 범위를 벗어나 도교와 융합하여 많은 문학 작품 속에서 중요한 서사를 이끄는 소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는 중국 현대 웹소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중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唐七작가의 ‘三生三世’시리즈 《三生三世十里桃花》, 《三生三世枕上書》, 《三生三世步生蓮》을 통해, 중국 웹소설에서 환생 및 전세에 대한 양상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삼생삼세’시리즈는 주인공들의 삼생에 걸친 사랑에 대한 내용을 시간의 교차와 공간의 이동을 통해 그리고 있다. 각 작품에서는 本身轉世, 投胎, 靈魂分離轉世, 還生 등의 방법을 통해 환생과 전세했으며, 윤회와 전세의 주체인 元神의 운용과 창조적인 冥界觀은 현대 웹소설에서의 다양한 윤회와 전세의 해석과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Buddhism’s Reincarnation ideology is a very important religious ideology, and at the same time, it has given people a strong perception of “rebirth” to those who cannot escape the bondage of human life and death. Contents related to reincarnation and similar reincarnation have also been used as subjects that lead important narratives in many literary works by fusion with Taoism beyond the scope of Buddhist scriptures, which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modern Chinese web novel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reincarnation and charter in Chinese web novels through The ‘Three worlds and Three Lives(三生三世)’ series, To the Sky Kingdom(三生三世十里桃花), The pillow Book(三生三世枕上書), The Step Lotus(三生三世步生蓮) which is created in dramas, cartoons, etc. by Tangqi(唐七) who have gained sensational popularity in China. The ‘The Three Lives and Three Worlds’ series depicts the protagonists’ love over the three live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ime and movement of space, bu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reincarnation and charter contained in each work. It also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reincarnation and charter expressed in religious aspects or writer’s imagination.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晩唐 李商隱과 北宋 西崑派 멀리서 읽기 | 박민정 | p. 1-23 |
|
|
몽골을 향한 남송 문인의 미묘한 시선 : 《蒙韃備錄》과 《黑韃事略》을 중심으로 | 이은진 | p. 25-46 |
|
|
만화 《紅樓夢》과 지평의 전환 | 김지선 | p. 47-71 |
|
|
근대 중국의 서구 탐색을 ‘보다’ : 薛福成의 『出使英法義比四國日記』 디지털문화지도 구축 방안 | 김화진 | p. 73-99 |
|
|
南国时期田汉戲剧的流浪意识探究 | 滕菲 | p. 101-127 |
|
|
비페이위(畢飛宇)의 《마사지사(推拿)》에 나타난 장애서사의 전유와 윤리적 전회 | 김봉연 | p. 129-155 |
|
|
‘걷기’를 통한 국토 상상의 체화 : 중국 여행 다큐멘터리 <기묘한 도시(奇妙之城)>를 중심으로 | 황정혜 | p. 157-178 |
|
|
중국 웹소설 ‘三生三世’ 시리즈에 나타난 還生과 轉世 연구 | 연소영 | p. 179-201 |
|
|
고대중국어 ‘則’과 ‘而’의 부사 용법 연구 | 조은정 | p. 203-222 |
|
|
현대 중국어 ‘N1+V/A+得+N2+VP’ 구문의 ‘N1’ 의미역 연구 | 이명월, 김영인 | p. 223-246 |
|
|
“X心”类心理动词的语义、句法特征与教学应用 | 金秀贞, 彭静 | p. 247-272 |
|
|
ChatGPT 중국어문학 국내 연구 동향과 중국어 말하기 수업 활용 배경 | 권아린 | p. 273-301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