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글로벌 사우스에 대한 중국학계와 정부에서의 논의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이 글로벌 사우스에 주목하는 전략적 이유와 목적, 그리고 그 목적 실현의 한계와 과제에 대해 분석했다. 중국은 현재 미국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미국과 경쟁적으로 글로벌 사우스 외교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특히 시진핑 정부가 2024년 글로벌 외교 구상으로 제시한‘다극화와 경제 세계화’추진에 있어서 글로벌 사우스는 중요한 연대 세력으로 간주되면서 브릭스 등 다자외교 무대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외교를 펼치고 있다. 그렇지만 중국의 글로벌 사우스로서의 자격 논란, 인도 등과의 글로벌 사우스 주도권 경쟁, 그리고 글로벌 사우스의 강대국에 대한 전략적, 실리적 선택 등으로 인해 중국이 의도하는대로 글로버 사우스를 견인하는데 적지 않은 도전과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현실적으로 중국이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을 견인하기 위해 가용한 자원은 경제적 수단에 국한되어 있다. 중국은 발전권 확보를 위해 오히려 경제적 비용을 감내해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 그뿐만 아니라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이 미국의 통제를 벗어나 첨단 기술을 획득하거나 기술 자립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중국은 글로벌 사우스 외교의 효용성과 가치에 대한 논란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국제관계학계의 이론과 연구 영역 발전에 관한 재고찰 = A re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ories and research areas in China's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김상규 p. 4-26

시진핑 3기 중국 대외정책의 지속과 변화 = Xi Jinping's third-term foreign policy : continuity and change in "major-power diplomac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 ‘중국특색 대국외교’를 중심으로 신종호 p. 27-63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에 대한 중국의 논의, 전략과 과제 = China's discussions, strategies and challenges on global south 이동률 p. 64-96

개막식의 한복 입은 소녀와 공정(工程)의 서사 = The Hanbok(韓服)-clad girl at the Olympic opening ceremony and the narrative of GongCheng(工程) : an examination of methods explaining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 한중 간 문화 갈등의 설명 방법에 대한 고찰 김도경 p. 97-123

从戏剧舞台叙述角度解读马克思《资本论》 = Reading Marx' The Capital as a theatrical stage narrative : Shakespeare as a reference point : 以莎士比亚为依据 白承旭 p. 124-139

解读新质生产力的理论内涵与政策动态 =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in China : an analysis of its theoretical buildings and policy trends 张暮辉 p. 140-156

应对台湾居民居住证的立法政策与管制理念 = Legislative policies and regulatory concepts for Taiwan residents' residence permits in mainland China 杨明勋, 曾乙晏 p. 157-179

合作与制衡 = Cooperation and checks and balances : a view of the national government from The Gazett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oncern and policy towards Korea : 从《外交部公报》看国民政府的对韩关注与政策 王晨 p. 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