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체육 전공자의 언어 사용 능력에 대해 우리 사회가 가지는 부정적인 인식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0명의 체육 전공 대학생(이하, 체대생)과 40명의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하, 비체대생)의 논설문을 수집하여 두 집단의 작문이 어휘 다양성과 통사적 복잡성에서 차이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어휘 다양성은 작문에 나타난 어휘의 출현 빈도, 유형 빈도 및 유형-출현 빈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통사적 다양성은 한 문장당 어절 수, 한 문장당 형태소 수, 한 문장당 등위절 수, 한 문장당 부가절 수, 한 문장당 관계절 수, 한 문장당 동사 수, 한 문장당 조사 수, 총 문장 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체대생과 비체대생의 작문은 어휘 다양성과 통사적 복잡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체육 전공자의 언어 사용 능력에 대한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이 타당하지 않으며, 정당한 근거가 없는 편견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특정 집단에 대한 부당한 편견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the negativ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PE) majors' language proficiency, prevalent in our society, holds any validity. To this end, argumentative essays were collected from 40 PE majors (henceforth referred to as PE students) and 40 non-PE majors (henceforth referred to as non-PE students). The essays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lexical diversity and syntactic complexity. Lexical diversity was assessed based on the token frequency of words, type frequency, and type-token ratios (TTR). Syntactic complexity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phrases per sentence, morphemes per sentence, coordinate clauses per sentence, subordinate clauses per sentence, relative clauses per sentence, verbs per sentence, postpositions per sentence, and the total number of sentences. The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writings of PE and non-PE students in terms of lexical diversity and syntactic complex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PE majors' language proficiency in our society may not be substantiated by legitimate ground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to explore ways to eliminate undue prejudice against specific group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xploring the linguistic identity of a Koryo-saram female university student using performative narrative analysis = 수행적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고려인 여대생의 언어적 정체성 연구 Kong, Na-hyung p. 5-28

보육교사의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daycare teachers’ child find and early intervention process for young children at risk 김태영 p. 29-51

Impact of earnings management on financial performance = 이익조정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Lim, Daekyu p. 53-68

사회복지정책환경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policy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재환 p. 69-98

Advancing social entrepreneurship? Perceived social impact of savings and credit co-operative societies (SACCOs) in Uganda =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발전? 우간다에서 저축신용 협동조합(SACCOs)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 Nuwagaba, Oscar, Han, Yousueng p. 99-120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일 소방 및 재난안전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Korea-Japan fire and disaster safety research tren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김용철 p. 121-143

백수린 소설에 나타난 세대 간 균열과 가족 관계의 재구성 = Intergenerational cracks and reconstruction of family relationships in Baik Su-lin’s novels 정도미 p. 145-164

체육 전공 대학생과 비체육 전공 대학생의 쓰기 능숙도 비교 연구 = A study on vocabulary diversity and syntactic complexity in the writing of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s : 어휘 다양성 및 통사적 복잡성을 중심으로 박창범, 박선희, 이예나 p. 165-179

고령자의 보드게임 참여가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board games on hand function of elderly applied in some welfare centers 정복희, 강은영, 백현희 p. 181-191

디지털 시대,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김경래 p. 193-219

중국 향촌건설운동 연구 동향 탐색 = Exploring research trends in China’s rural construction movement : focus on keyword network analysis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최은진 p. 22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