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関連性理論을 근간으로 ノダ의 본질을 설정하고 그 가설이 타당한지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ノダ의 본질은 ‘청자에게 명제에 대해 [화자의 스키마적 지식에 대한 해석]으로 해독해 달라는 의도적인 표식’으로 제시하고 이것이 문장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해석되어야 할지에 대해 인간의 사고처리과정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화자의 스키마적 지식’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非ノダ군(非ノダ, だろう, ね, よ, よね)과 ノダ군(ノダ, ノダろう, ノダね, ノダよ, ノダよね)을 비교하였으며 각각이 의미상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非ノダ와 ノダ의 가장 큰 차이점은 ‘화자의 스키마적 지식의 변화 유무’이다. 非ノダ는 화자의 스키마적 지식에 변화가 없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하고 자신이 가진 스키마적 지식의 서술을 나타낸다. 이에 비해 ノダ는 화자의 스키마적 지식에 대한 변화와 관계없이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화자의 스키마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해석을 나타낸다. 스키마적 지식에 변화가 있는 경우는 새로운 지식의 획득을 나타내고 지식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기존에 가진 스키마적 지식에 정당성을 부여하여 표출함을 나타낸다.

둘째, 非ノダ군과 ノダ군은 명제를 인식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각 표현은 모달리티 표현에 의해 명제에 대한 화자의 심적태도를 표명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非ノダ군은 객관적인 사실로 인식하고 ノダ군은 화자가 가진 스키마적 지식을 관련지어 해석한 결과로 인식한다.

This thesis h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relevance theory with its focus on present the intrinsic nature of ノダ(noda) and verifying if the hypothesis is reasonable.

The intrinsic nature of ノダ(noda) is the intentional expression to construe [interpretation on the schematic knowledge of speaker] about the proposition to listener.

The feasibility on the intrinsic nature of ノダ(noda) is an element called ‘the schematic knowledge of speaker’ and can be see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non-ノダ゙(noda) group:non-ノダ゙(noda),だろう(darou), ね(ne), よ(yo), よね(yone)] and the [ノダ゙(noda) group:ノダ゙(noda), ノダろう(nodarou), ノダね(nodane), ノダよ(nodayo), ノダよね(nodayon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non-ノダ゙(noda) and ノダ゙(noda)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nge in the schematic knowledge of speaker'. If there is a change in the schematic knowledge of speaker, use ノダ゙(noda) and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schematic knowledge of speaker, both non-ノダ゙(noda) and ノダ゙(noda) are used. In addition, it is the same that non-ノダ(noda) group and ノダ゙(noda) group represent the speaker's mental attitude toward the proposition by the connected modality expression.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y a proposition is recognized. the non-ノダ(noda) group recognizes the proposition as ‘the fact itself’, and the ノダ゙(noda) group recognizes the proposition as ‘interpretation on the schematic knowledge of speak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종교철학 관점에서 본 『천도소원』(天道溯原)연구 = A study on the moral theological apologetics of W.A.P. Martin : focusing on Evidences of Christianity(『天道溯原』) : 그 도덕신학적 변증 고찰 설충수, 선병삼 p. 1-24

라프카디오 헌과 일본환상의 횡단 = Lafcadio Hearn and traversing the fantasy of Japan : association with traversing the fantasy of religion : 종교환상 가로지르기 박규태 p. 55-89

대만 원주민의 ‘머리사냥(Headhunting)’과 조상숭배 = Headhunting and ancestral worship of Taiwan’s indigenous people :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의 민족지를 중심으로 문혜진 p. 91-118

중국의 해양인식 변화와 해양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ocean awareness and ocean education in China 김창경, 공봉진 p. 119-142

임계적 공공성과 공공예술 = Critical publicness and public art 김동규 p. 143-175

동아시아 고해도(古海圖) 연구현황과 과제 = On the research analysis of East Asian old charts and its problems 박계각 p. 177-217

북서아프리카 해역의 한국 원양어업 연구 = A study on the North-West African Sea region and the Korean deep sea fishing : focused on the agreement of fisheries cooperation between ROK and Spain : 한-스페인 어업 협정 체결을 중심으로 이학수 p. 219-249
무형유산으로서의 부산굿 전승 내력과 가치 확산 = History of Gut transmission and spread of value in the Busan reg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김형근 p. 251-278

경남 서부지역 전설의 전승양상과 지리·문화적 특성 연구 = Transmission pattern of legends and the geographical·cultural features : focusing on the legend of Gwangpo in the Sancheong, Hadong, and Namhae : 산청, 하동, 남해 지역 광포전설을 대상으로 이현주 p. 279-313

지역 문학관의 대중친화적 콘텐츠 프로듀싱 = Producing public-friendly content for local literary museums 권유리야 p. 315-346

「중국기독교교회규장」과 중국교회 법제화 = “Charter of the Chinese Christian Church” and legalization of the church of China 유미경 p. 347-370

베트남 민화(民畫)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Vietnamese folk painting : focusing on the morphological similarity between Vietnamese folk painting and Chinese New-Year painting : 베트남 민화와 중국 연화(年畵) 간 형태상 유사성을 중심으로 김현재, 김현태 p. 371-403

최근 중국 내 중국어 방위사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the recent trends of Chinese locative particle in China 김은희 p. 405-426

海域を越える宗教と文学 = Rreligion and literature beyond the sea : regarding the contextualization of Christian literature as seen in Shusaku Endo's "Silence" and Richard E. Kim's "The Martyred" : 遠藤周作の『沈黙』と金恩国の『殉教者』に見られるキリスト教文学の文脈化について 劉玲, 尹一 p. 427-448

ノダ의 본질과 타당성 검증 = Verification of intrinsic nature of ノダ(NODA) and its feasibility : based on relevance theory : 関連性理論을 기저(基底)로 이진경 p. 449-482

코칭리더십,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및 개인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aching leadership, job autonomy, self efficacy and individual creativity : focused on local employees of Korean firms in China : 재중 한국기업의 중국현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윤성환 p. 483-515

온·오프라인 구전에 대한 소비자 민감도의 개념화 및 타당화 = Conceptualization and validation of consumer susceptibility to online and offline WOM 이은경, 전중옥 p. 517-533

부울경지역의 주거실태 및 자가보유율 결정요인 = Housing conditions and self-ownership determinant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in Korea : focusing on employment type (regular/non-regular) :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를 중심으로 문영만, 이옥자 p. 535-558

企业基因视角下乡村旅游景区管理模式演化机制研究 = Study on the management evolution mechanism of rural tourism scenic spots from the perspective of enterprise gene taking Yunqiu Mountain scenic area as an example : 以云丘山景区为例 闫⽟英, ⽯美⽟, 李明爱 p. 559-58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정책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policy formation of the emission trading scheme : focusing on the role of policy brokers : 정책중개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남광희, 박용성 p. 587-631

놀이중심 학습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부진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the play-oriented learning counsel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of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 황순정, 이희영, 최태진 p. 633-663

노인의 사회참여도와 삶의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social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김정희 p. 665-688

내기물에서 폐기물이 된 경계인 = From stake to waste : a reflection on the debate surrounding the Jeong Yulsung commemorative project : 정율성 사업을 둘러싼 논쟁에 대한 소고 이희경 p. 689-722

교양수업 수강생의 세계시민성 변화 = Effectivenes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liberal education courses 김수정, 김민경, 김정선, 김애진 p. 723-743

고령 임금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Analysis of latent profiles and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among elderly wage worker 지혜순, 이영민 p. 745-769

『쇼운입명기[笑雲入明記]』를 통해서 본 중국 사찰과 명·일간의 불교 교류 = The Buddhist temples of Ming China and Sino-Japanese Buddhist exchanges as seen through Shōun Nyumeiki 임경준 p. 2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