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설화 <개자추와 한식>의 반응 양상과 우울의 관련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patterns of the oral folk tale <Gaejachu and Hansik> and depression 김정애 p. 9-38
‘효자 호랑이’ 설화의 사회서사와 소통의 철학 = The social-epic and philosophy of communication in the ‘filial tiger’ 손석춘 p. 39-66
서사와 죽음의 권위 = The authority of death in narrative : Walter Benjamin’s “The Storyteller” : 발터 벤야민의 「이야기꾼」을 중심으로 장태순 p. 67-92

수사학으로 본 ‘시적 방어기제’의 원리 = Rhetoric as poetic-defense mechanism 전미정 p. 93-118

‘명승(名勝)’ 지역 콘텐츠를 통한 디지털 교육 활용 방안 = Utilizing digital education through ‘scenic spot’ content 김경희 p. 119-147

<북상기(北床記)>에서 구성된 홍천의 장소정체성과 그 의미 = The identity of place and its significance in Hongcheon, as composed in Buksanggi(北床記) 유해인 p. 149-190
<이생규장전> 절사와 환체 대목의 의미에 관한 재론 = “The life of Peeping Lee-saeng(李生窺墻傳)” re-discussion on the meaning of suicide for chastity and reincarnation scenes 정상원 p. 191-218
<어스시의 마법사>와 <테하누>에 나타난 게드의 ‘자기실현’ 과정 = Ged’s ‘self-realization’ process in A Wizard of Earthsea and Tehanu 하영미 p. 219-245
태아의 인지 발달과 여성의 심리적 돌봄을 위한 옛이야기 태교 스토리텔링 연구 = A study on the prenatal storytelling of old stories for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fetal and psychological care of women 박시언 p. 247-296
구비설화를 활용한 부녀갈등 상담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conflict counseling program for fathers and daughters using folk tales : conflict between fathers and daughters owing to marriage : 혼사로 인한 갈등 서은아 p. 297-330

소설 『구덩이』를 활용한 청소년A의 운명론적 세계관 초월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transcendental pattern of the fatalistic worldview of adolescent A using the novel Holes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iterary therapeutic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the turning point of the narrative and the multifacetedness of the epic : ‘서사의 분기점’ 및 ‘서사의 다기성’을 활용한 문학치료학적 교육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 이미영, 김혜미 p. 331-389

의료서사 창작을 통한 성찰과 치유 가능성 = Reflection and healing by creating medical narratives : using oral records to create literature of Sorokdo : 소록도 구술 채증에서 문학으로 조안영 p. 391-425
지적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돕기 위한 공동선의 한 모색 = Search for the common good to help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e independently : the sensory integration activation picture book therapy program : 감각 통합 활성화 그림책 치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지상선 p. 427-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