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한국과 중국의 여성 SF 서사에서 페미니즘적인 양상이 어떻게 들어나고 있는지 천착하고자 했다. 2000년대 이후 한국과 중국에서 여성 SF소설이 부상하고 있다. 이전에는 한국이나 중국에는 SF장르는 굉장히 남성적인 장르였는데, 90년대 들어 SF가 대중적인 장르로 취급되면서 여성 작가들을 중심으로 해서 SF가 부상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여성 SF 작가들의 작품은 기존의 남성중심적인, 근대주의적인 사상들을 전복하려고 하는 의식은 많이 보인다. 따라서 이 글은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여성 SF소설인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과 일십사주(一十四洲)의 『작은 버섯(小蘑菇)』이라는 두 작품을 비교하면서 한국과 중국이라는 국가나 지역 간의 비교를 넘어서 동아시아의 여성 작가들이 왜 SF를 통해서 기존의 젠더 질서를 전복하려고 하는지를 살펴보고, 한・중 여성 SF소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서 동아시아 여성들의 SF를 통한 소통・연대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세기 중국 문헌과 일본 문헌의 외국 지명 유사도 및 번역 표기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similarity and transliteration characteristics of foreign place names in 19th century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 focusing on the 19th century Japanese document Beiokairanjikki : 19세기 일본 문헌 『米歐回覽實記』를 중심으로 김기원 p. 3-30

중국어 정도보어의 한국어 번역 실제 = A practical method of translating Chinese State complement into Korean 유재성, 이용태 p. 31-59

중국어 ‘有’, ‘是’자 존재문의 한국어 대조 분석 = A contrastive study on Chinese '有', '是' existential sentence and Korean 윤비취 p. 61-84

网络自媒体谐音表意的动因及语用分析 = Motivations and pragmatic analysis of homophonic semantic expressions in online social media : focusing on the incident of North Korea launching garbage balloons at South Korea : 以朝鲜向韩国投放垃圾气球事件为中心 焦毓梅 p. 85-101

“X媛”族网络新词的构式分析及生成机制 = Construction analysis and generation mechanism of internet neologisms about the “X-媛” 刘卿序, 张梁 p. 103-126

韩汉重动句的范畴不对称性研究 = The study of category asymmetry in copy-verb constructions in Chinese and Korean 卢锦仪, 李佳朋 p. 127-153

왕안이(王安憶) 《장한가》 다시 읽기 = A study on the places and props in Wang AnYi's The Song of Everlasting Sorrow : 장소와 소품 분석 김준연 p. 157-189

한·중 여성 SF소설에 나타난 페미니즘 양상 = Feminism aspect presented in Korean-Chinese women's science fiction : focus on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and “the Little Mushroom” : 『지구 끝의 온실』과 『작은 버섯(小蘑菇)』을 중심으로 딩징이 p. 191-219

중국식 NFT 디지털 컬렉션의 유형 및 활용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utilization of Chinese NFT digital collection : focusing on digital collections of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s : 전통 문화 소재의 디지털 컬렉션을 중심으로 배혜은 p. 223-247

음식 네이밍과 상상력 = Food naming and imagination : focusing on Korean and Chinese cuisine : 한국과 중국 음식을 중심으로 정유선 p. 249-269

타이완 영화 <메리 마이 데드 바디>의 재현 방식으로 탐색한 수용 가능한 이상과 삭제된 현실 = Acceptable ideals and erased reality explored through representational methods in the Taiwanese movie Mary My Dead Body 진성희 p. 271-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