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에서는 유득공(柳得恭)의 「동현금부(銅絃琴賦)」와 남공철(南公轍)의 「청철금(聽鐵琴)」, 「금부(琴賦)」, 「악기부(樂器賦)」를 중심으로 서양금의 수용과 문학적 형상화 방식을 살펴보았다. 유득공과 남공철의 작품은 서양금이 가지는 함의를 심도 있게 풀어내면서, 서양의 기물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진지한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유득공은 「동현금부」에서 서양금을 구성하는 구리라는 광물, 서양금의 제작 원리에 대해 세밀하게 탐구한 다음, 서양금이 여러 가지 전통 음악, 나아가 아악과 불합하지 않음을 서술하고, 마지막으로는 동성이기론을 덧붙여 기존의 유교 문화 체제 내에서 서양금으로 대표되는 외래 문물을 충분히 조화롭게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려 하였다. 유득공의 작품을 통해 북학파 사이에서의 서양금 향유가 취향의 영역 안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이국의 문물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성찰을 동반하는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남공철은 아취의 영역에서 서양금을 소비하다가, 반서학적인 분위기 그리고 악풍반정 정책에 호응하며 서양금을 아악과 공존할 수 없는 오랑캐의 악기라고 결론을 내렸다. 「청철금」, 「금부」, 「악기부」는 중화를 계승한 조선이 예악을 부흥시켜야 한다는 그 나름의 논리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라 하겠다.
19세기 이후 양금은 국악화되었지만 애초에 유득공이 서양금을 통해 보여주었던 이문화에 대해 진지한 성찰이 크게 확산되지 못했던 것은, 아악을 회복해야 한다는 당위와 서학에 대한 경계가 명분으로나마 강력하게 작용되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유득공과 남공철 작품은, 단순한 개인적 차를 넘어 외래문화에 직면한 조선 문인들의 두 가지 상반된 태도를 예고해주는 것이기에 흥미롭게 다가온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