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미취학자녀를 둔 20-49세 기혼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취업여부와 가사노동분담이 미치는 영향이 보육서비스 제도에 의해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개인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역할수행을 위한 역량과 만족도와의 관계 그리고 사회정책의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여성가족패널조사 2차(2008년)와 6차(2016년)를 분석한 결과 2008년도에는 유급노동이나 가사노동을 통한 역할 수행과 보육서비스제도는 여성의 결혼만족도와 관련 없었다. 반면 2016년도에는 취업이나 가사노동 수행 모두 결혼만족도와 직접적인 영향관계에 있었고 보육서비스 이용 여부에 따라 취업여부와 가사노동분담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졌다. 구체적으로 미취업이면서 서비스를 이용한 여성에 비해 취업하고 서비스를 이용한 여성의 결혼만족도가 낮았다. 가사노동분담을 80% 이상 수행하는 여성 중 보육서비스를 이용한 여성의 결혼만족도는 제도를 이용하지 않은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비해 낮았다. 다른 관련 요인에는 여성의 교육수준(2008년, 2016년), 남편의 일자리 여부(2008년), 남편과의 관계 만족도(2008년, 2016년),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 만족도(2008년), 여성의 일에 대한 남편의 인식(2016년), 가구소득(2008년)이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함의를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여성 청년의 저출산 문제 인식에 대한 검토와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young women’s perceptions of low fertility issues and policy directions 손지아, 유재은 p. 1-32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on fiscal health of local governments : focusing on the consolidated fiscal balance ratio of local governments : 기초자치단체의 통합재정수지비율을 중심으로 이건영, 조정래 p. 33-61

시간길이에서 본 관료 전문성 = Bureaucrats professionalization from a time perspective 안병철 p. 63-84

법령상 주민참여제도의 유형 분석 연구 = Analysis of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systems by law 임민영 p. 85-109

도시와 농촌고급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urban and rural gentrification 서준교 p. 111-148

청년층의 지위가 결속형·연결형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status of young adults on the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 focusing on the strength-of-position proposition : 지위 강도 명제(The Strength-of-Position Proposition)를 중심으로 김정인 p. 149-179

기혼여성의 유급노동과 가사노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보육서비스 제도 이용여부에 의해 달라지는가? = Does the impact of paid labor and household labor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men vary depending on the use of childcare services? 안미영 p. 181-203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서번트 리더십의 조절효과 분석 =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 중앙부처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재인, 문국경 p. 205-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