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 배경 및 목적) 군 홍보 분야에서는 지속 적으로 외부의 공중과 관련 소식들을 모니터링하며 관계를 개선하는 것을 필요로 하여 메타버스의 활용을 통해 홍보 대상이 되는 공중을 대상으로 하는 공간적인 개념의 범위를 확장하여 소통하며 접근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과 자유권이 실현되기 위한 전제조건이자 국민의 안전권과 국가의 보호 의무에 대한 연장선상의 알 권리로 군 홍보는 기존의 홍보 수단과 매체 및 국군 홍보 환경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군 홍보 분야에서 메타버스의 분류에 따라 활용되는 유형과 해당 되는 홍보 분야의 전략적인 분석 및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연구에 대한 소기의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메타버스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모병, 보훈, 복지, 정훈 분야의 국군 홍보 분야의 활동이 진행된 메타버스로 재분류하여 연구의 범위를 정하였다. 메타버스의 군 홍보 분야 활용 유형과 각각의 모병, 보훈, 복지, 정훈 분야의 활동이 진행되는 사례를 선정하여 해당 메타버스와 PC와 Mobile이 연계된 웹 소셜 환경을 이용한 홍보 전략을 포함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결과) 메타버스의 분류에 따른 군 홍보 분야의 활용 유형과 전략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거울 세계 메타버스는 모병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커뮤니티 사이트를 활용하여 홍보 대상에 관심과 충성도가 높은 커뮤니티 사이트의 구전 효과를 이용하는 전략을 보였다. 가상 세계 메타버스는 보훈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홍보 목적과 의도에 맞는 뉴스와 인터넷 뉴스 지면 지분을 활용하는 전략을 나타내었다. 증강 현실 메타버스는 복지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적극적인 정보 탐색과 사용자를 위한 홍보 대상 행동 동선을 제공하는 VR 체험, 뉴스와 시청각 홍보 자료 시청과 같이 관심 이용자들의 보조적인 정보 이해를 돕는 목적의 시청각 자료 사용하는 전략을 차용하였다. 라이프 로깅 메타버스는 정훈 교육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다수의 이용자 그룹 참여를 도입하여 사전에 체험하고 이용 후 사용자 그룹의 체감적인 인상 부여하는 형태의 전략을 사용하였다. (결론) 홍보하고자 하는 내용과 함께 동시성, 실재감, 연속성, 상호운용성과 같은 메타버스의 특징을 담고 있는 경험이 함께 전달되며, 웹 소셜 기반의 홍보 환경을 기능으로 일방적인 공보 기능에서 활용보다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쌍방향 소통을 제공하는 것에 효과적이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field of military public relation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related news with the external public and improve relationships, so through sought ways to communicate and access the public through the metaverse, which utilizes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space perceived through individuals' diverse experiential perceptions. In addition, as a prerequisite for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the right to freedom, and the right to know as an extension of the people's right to safety and the state's protection obligation, the existing publicity methods, media, and the publicity environment for the armed forces were studied. In this field of military public relations, through strategic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types us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metaverse and the corresponding public relations field, this study seeks to provide the desired direction for research on building and utilizing the metaverse.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was determined by classifying the metaverse by type and reclassifying it into the activities of military recruitment, veterans affairs, welfare, and military education in the field of public relations for the armed forces. Case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type of use of metaverse in the military public relations fiel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the content of activities in the field of public relations, and promotional strategies using the web social environment linked to the metaverse and PC and mobile. (Results) The types and strategies of use in the field of military public relation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metavers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mirror world metaverse was utilized in the field of military recruitment. By using community sites, a strategy was shown to utilize the word-of-mouth effect of community sites with high interest and loyalty to the promotional target. The virtual world metaverse was used in the field of veterans affairs and represented strategic publicity using news and internet news space that fit the promotional purpose and intention. Augmented reality metaverse is used in the welfare field and is part of promotional activities to help interested users understand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VR experiences that provide a route to users actively seeking additional information, watching news, and watching audio-visual promotional materials. Lifelogging metaverse used a strategy of experimenting in advance by providing flexibility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providing user experience before use. (Conclusions) An experience that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such as simultaneity, presence, continuity, and interoperability, is delivered along with the content to be promoted, and the function of the web social-based public relations environment was effective in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 with positive interaction rather than one-sided public information.*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