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인간은 누구나 고통을 받는다. 이것을 완전히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연민과 공감으로써 제한적인 극복을 이뤄낼 수 있다. 함께 고통을 느끼며 곧 고통 연대를 통해서 고통을 극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고통 연대’는 인간을 성화토록 한다. 그렇다면 인간 성화를 위한 고통의 연대란 무엇일까? 그것은 하나님의 ‘자기 비움’이다. 하나님은 자기를 제한함으로 세상을 창조하셨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고통 안으로 들어왔으며, 성령의 내주하심을 통해 인간과 항상 연대한다. 성육신 사건은 고통 연대의 절정이며 예수의 삶은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과 같이 고통 받는 이들에게 먼저 다가가는 삶이었다. 그는 인간 고통의 정점인 죽음까지 감당하고 부활을 통해 인간에게 부활, 영생, 성화 곧 구원의 희망을 준다.

그러나 오늘 개인주의적 신앙은 연대성을 망각하게 했다. 사사회된 신앙은 스스로 자신을 구원하고자 하는 자기우상화와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그래서 기독교는 ‘자비’에 집중한다, 왜냐하면 ‘자비’에는 고통 연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곧 하나님이 인간에게 느끼는 연민과 공감이며 사랑을 베푸는 구체적인 행위다. 그러므로 인간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 이웃을 사랑하고 고통에 연대하는 제자도를 통해 성화를 이루어 간다.

All humans suffer.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eliminate this, but we can achieve limited overcoming through compassion and empathy. We overcome pain through pain solidarity as soon as we feel it together. And this “pain solidarity” makes humans into sanctification. So what is the solidarity of pain for the sanctification of humans? It is God’s “self-emptying.” God created the world by limiting himself, entered into suffering through Jesus Christ, and is always in solidarity with humans through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y Spirit. The incident of the incarnated God was the culmination of pain solidarity, and Jesus’ life was a life that first approached those who suffer, such as the poor and marginalized. He endured until death, the culmination of human suffering, and through his resurrection, he gives humans the hope of resurrection, eternal life, the sanctification, and soon salvation.

However, today’s individualistic faith has forgotten solidarity. Social faith is no different from the self-idolization of saving oneself. So Christianity focuses on “mercy,” because “mercy” includes pain solidarity. It is a concrete act of love, of compassion and sympathy that God immediately feels for humans. Thus, humans are sanctified through the disciples who love their neighbors in line with Jesus Christ and share in their suffer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음 세대를 신앙의 주체로 세우는 기독교 교육 = Christian education to establish the next generation as the subject of faith 김준호 p. 7-43

교회 신앙교육이 청소년 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hurch faith education on the formation of adolescents’ values 김솔우, 김유겸, 김한, 박성빈, 박종겸, 이주원, 조의현 p. 45-75

반-아타락시아 전략과 불안의 긍정성 = Strategy for anti-ataraxia and the positivity of anxiety : Kierkegaard’s philosophy of inwardness centered trinity variations of anxiety, skepticism, and faith : 불안, 회의, 신앙의 삼위일체적 변주를 중심으로 한 키에르케고어의 내면성의 철학 김완종 p. 79-113

인간향상기술의 기독교적 수용 가능성과 한계 = Christian acceptability and limitations of enhancement 문영식 p. 115-146

생태학적 공존을 위한 정치신학의 인식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 for political theology for ecological coexistence 박성철 p. 147-174

해석학적 성찰을 통해 본 레비나스의 유대 사상 = Levinas’s Jewish thought through hermeneutical reflection 심상우 p. 175-209

오리게네스에 있어 영혼의 움직임, 무정념 그리고 사랑 = Movements of the soul, apatheia and love in Origen 오유석 p. 211-246

실존적 철학이 점층적으로 밝히는 신-인 관계의 역동성 = Dynamics of God-human relationship gradually clarified by existential philosophy 이민애 p. 247-271

인공생명과 계산력의 창발 = Artificial life and emergence of computational power : crisis of boundary collapse between human and AI : 인간과 인공지능 간 경계선 붕괴의 위기 전대경 p. 273-308

고통, 연대 그리고 그리스도인 됨 = Suffering, solidarity, and being Christian 조영호 p. 309-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