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경찰과 군의 경계 활동은 3·1운동의 재현을 막는데 초점이 있었다. 국장 기간의 치안은 경찰이 전면에 나서서 담당하고, 조선군은 소수의 헌병을 배치하는 보조적 위치에 있었다. 이는 3·1운동 이후 재편된 통치 전략에 따른 역할 분담의 결과였다.
순종의 건강 상태는 일본 정부가 구체적인 대책을 미리미리 세울 수 있게 시간적인 여유를 주었고, 경찰은 확정한 대책에 따라 위력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조선인 사회의 움직임을 장악하였다. 그 첫 고비가 5월 1일 메이데이였지만 집회를 금지하고 주요 인물에 대한 감시와 격리 조치를 통해 조선인의 결집을 가로막으며 분위기를 장악해 갔다. 경찰은 전국의 경찰력을 동원해 조선인 민심, 특히 사상단체 등의 운동가들과 학생들의 동향을 적극 파악하는 한편, 지방에서도 사람들이 모이게 하지 않게 집회를 금지하고 奉悼를 되도록 통제하였다.
5월 중순을 지나며 상황을 장악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가진 경찰은 집회 금지 조치에 대해 조금은 유연하고 시선을 분산하는 조치로 대응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경찰은 사찰 경계와 통제 활동을 항상 우선하며 계엄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이즈음 그들의 관심은 6월 10일 국장 당일의 치안 대책으로 옮겨갔다.
조선총독부는 세 구역으로 나누어 경계망을 짜고 국장 행렬이 지나가는 곳과 그 주변 그리고 시내의 치안을 장악했다. 7천여 명의 의장병이 국장 행렬을 에워싸고, 3천 7백여 명의 경찰과 헌병이 국장 행렬 주변에 운집한 사람들 속에서 그리고 시내에서 사찰 경계 활동을 지속하게 하였다. 또한 인원 미상의 군대를 파고다공원에 집결해 두고, 순찰척후대를 편성해 이곳을 거점으로 시내 여기저기를 순찰하였다. 말 그대로 식민지 조선에서 평시 임무를 수행할 최소 인원을 제외하고 동원 가능한 경찰과 군대를 경성에 총동원한 대응이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