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덕탄광 광산배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슬러지 발생 원인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석회 중화실험을 수행하고 수질 분석 및 침전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지구화학적 모델링을 수행하여 침전광물 중량을 도출했고 Fe-pH-Eh 및 석고-Ca-SO4 다이아그램을 작성하였다. 광산배수를 과산화수소로 산화하고 소석회로 중화했을 때 pH가 증가하면서 주요 오염성분은 Fet > Al > Mn 순으로 제거되었다. 침전물은 pH <5에서 6.4 g/L, pH 7-8에서 1.9 g/L으로 발생했다. pH 5 이하에서 침전물이 집중 생성된 이유는 Fe 및 Al 수산화물과 석고가 침전했기 때문이었다. 지구화학적 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pH 8을 기준했을 때 전체 침전물 중량에서 Fe, Al 및 Mn 수산화물은 약 30%, 석고는 약 70%를 차지했다. 연구 지역 침전조에 퇴적되는 다량의 슬러지는 고농도 SO4 성분과 소석회 Ca 성분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석고가 주요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cause of the excessive sludge generated at the Daedeok mine drainage treatment plant. A lime neutralization experiment, water quality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precipitate amount were conducted. Geochemical modeling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weight of the precipitate, and Fe-pH-Eh and gypsum-Ca-SO4 diagrams were prepared. When the acid mine drainage (AMD) was oxidized with hydrogen peroxide and neutralized with lime, the major contaminants were removed in the following order: Fet > Al > Mn, as the pH levels increased. Precipitation occurred at pH <5 at 6.4 g/L and at pH 7-8 at 1.9 g/L because the precipitation pH of Fe, Al, and gypsum were concentrated below pH 5. According to the geochemical modeling, Fe, Al, and Mn hydroxid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30%, while gypsum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0% of the total precipitate weight at pH 8. The significant sludge deposition in the settling pond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generation of gyps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