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해방공간(1945-1948) 7개 주요 경기단체들의 재건(창립)과 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육상, 축구, 권투, 역도, 농구 등 5개 단체가 재건되고, 자전거와 레슬링 등 2개 단체는 창립되었다. 둘째, 레슬링, 육상, 축구 세 경기단체는 국제경기연맹에 가입해 제14회 런던올림픽대회에 한국이 참가할 수 있는 요건을 조건을 충족시켰다. 셋째, 각 경기단체는 종목별 경기대회 주최와 선수 훈련에 힘쓰며, 국제경기대회 출전을 위한 경비 모금, 환송 및 환영회 개최 등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한국 선수들은 마라톤과 역도 종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고 국민적 단결을 이루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해방공간 7개 경기단체의 재건(창립) 및 활동은 한국 스포츠의 재건과 국제적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포츠를 통한 CSR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능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s through sports on the physical abilities and soci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유수정, 양지은, 이용호 p. 1-12

1인 미디어 홈트레이닝 콘텐츠 특성과 트레이너 특성이 이용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that characteristics of content and trainer for one-person media home training have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이언정, 이영직, 하재필 p. 13-28

체육수업에서의 내적동기와 수업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최지아, 김영욱, 권영문, 오수학 p. 29-38

COVID-19 상황에서 교내 체육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탐색 = Explori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이현석 p. 39-48

역량기반 체육교육 전공연계형 비교과 교육모형 개발 = Developing competency based educational models of extra-curricular linked to physical education majors 유정애 p. 49-59

초등학교 저학년의 태권도 수련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aekwondo training on social skill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강명주, 심승보, 김하영 p. 61-70

장애인 생활체육참여율 확대를 위한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 현상과 과제 = Enhancing disabled people’s participation rate of sport activities : analyzing as-is and to-be of sports voucher for disabled 안준상, 권기성 p. 71-82

일제강점기 배재 럭비부의 활동 = The activity of PaiChai Rugby Football Club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김재우, 하정희 p. 83-93

해방공간(1945-1948) 경기단체의 재건(창립) 및 활동 = Reconstruction and activities of sports organizations in the liberation period (1945-1948) 김미경, 하정희 p. 95-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