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국제 기후변화 정치 영역에서 신재생에너지원 발전 전력의 사용 증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정책 방향이 정립되면서 신재생에너지원 발전 전력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유럽연합 회원국들 중 독일은 에너지의 외부 의존도가 크고 신재생에너지원 발전 전력의 증대를 도모하는 국가 에너지 수급 계획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확대에 효과적인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독일의 주택용 태양광 발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기하급수적인 수적 확대 기저에는 독일 정부의 그 시스템 설치와 발전 용량에 대한 세금 감면, 보조금, 독일 재건은행의 저리 융자 지원 등이라는 재정적 지원정책 등이 시행되고 있다. 그 발전의 가속화를 위해서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정의 부재 해결을 위한 독일 에너지 산업법 내 그 법적 정의 마련, 에너지 저장 시스템 사용 시 부과되는 과세와 세금 등의 이중과세를 피하는 방향으로의 독일의 에너지 산업법 개정, 그리고 대규모 저장 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만 적용되는 전력망 사용료 면제의 주택용 태양광 발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분야로의 적용 등이 정책상의 과제로 논의될 수 있다.

한국 정부도 독일이 시행하고 있는 자가 공급 전력이 자체 수요로 사용될 경우 적용하고 있는 소비세와 과세 면제를 한국 내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용도와는 상관없이 적용하는 것이 주택용 태양광 발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효과적인 수적 확대를 위해서는 필요한 정책 방향으로 사료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국의 탄소중립 이행 거버넌스 및 체계 및 관련 법제 분석 = Analysis of the governance, system, and related legisl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carbon neutrality in the United Kingdom 김봉철, 심민섭 p. 3-37

스웨덴의 원자력정책의 변화와 전략 = Digital sovereignty and Europe : legislation and implications of EU digital policy : 에너지안보와 지속가능성의 조화 신의찬 p. 39-66

유럽연합의 기후 정책에 따른 폴란드의 에너지전환 정책 = The energy transition policy of Poland in response to the European Union's climate policy : the role of nuclear power : 원자력 발전의 역할 이하얀, 예연수 p. 67-89

유럽연합의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정책 발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olicy development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in the EU : the German residential photovoltaic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 독일의 주택용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정혁 p. 91-119

2024 유럽의회 선거와 이탈리아 = 2024 European Parliament elections and Italy : prospects for the rise of the far-right and European integration : 극우세력 신장과 통합의 전망 김시홍 p. 121-142

(The) Ukraine war and the future of European security = 우크라이나 전쟁과 유럽안보의 미래 Daewon Ohn p. 143-184

EU의 문화유산정책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EU's cultural heritage policy : focusing on the European Heritage Label programme : 유럽유산인증(European Heritage Label)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윤성원 p. 185-209

유럽연합(EU)과 국제스포츠기구와의 협력과 갈등 = Cooper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International sports organizations : focusing on 'good governance' : ‘굿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안준철 p. 211-241

도심항공교통(UAM) 조기 상용화를 위한 인증체계 수립방안 연구 = A study on establishing a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early commercialization of urban air mobility (UAM) : 한·EU 인증규정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박하나, 서지민 p. 243-270

2024년 영국 조기 총선 분석 = Analysis of the 2024 UK general election : divided British society and a faltering two-party system : 분화하는 영국 사회와 흔들리는 양당제 김용민, 정성은 p. 271-297

독일 연방정치교육원의 조직학적 고찰 = An organizational study of the federal agency for civic education in Germany 정창화 p. 299-328

포르투갈 내 한류 확산 = Korean wave in Portugal : current status and trends : 현황과 동향 정호윤 p. 329-350

탈(脫)러시아의 최전선, 에스토니아 정당체계와 제도적 배경 = The front line of post-Russia : Estonia's party systems and institutional background 홍성우 p. 351-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