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배경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서 브랜드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고 있으며 스마트 미디어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브랜드와 소비자 간 관계를 형성하고 브랜드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앱을 하나의 핵심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공간인 오프라인을 넘어 고유의 브랜드앱을 구축하여 온라인에서의 소비자 접점을 확보하고 다원화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하고 있는 국내외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브랜드앱을 사례로 살펴본다. 또한 브랜드앱에서 표현 되는 다양한 기능적, 시각적 요소를 분류하여 각 요소가 기능적으로 구현되는 방식과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형태 및 연계성에 대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분석을 기반으로 도출된 문항을 설계하고 브랜드앱에 대한 사용자 대상 설문을 진행, 브랜드앱에 나타나는 각 요소와 브랜드의 연관성을 검증한다.
연구결과 위 조사 및 분석, 검증을 통하여 각 브랜드의 가치와 미션을 기반으로 하는 브랜드앱에서의 구현 방식들이 소비자의 실제 브랜드 인지나 경험과의 연계를 통하여 유효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브랜드와 소비자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통합적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및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효과적인 브랜드앱 구성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통한 통합적인 브랜드앱 구조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Background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brands are 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media, and brand apps are a key means of forming relationships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through smart media applications and allowing them to experience what the brand wants to convey. It is being utilized.
Methods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brand apps of domestic and foreign lifestyle brands that are building unique brand apps beyond the physical space, offline, to secure consumer contact points online and to establish diversified br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we classify the various functional and visual elements expressed in the brand app and analyze how each element is functionally implemented and its visually expressed form and connection. Finally, we design qu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and conduct a survey of users about the brand app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lement appearing in the brand app and the brand.
Result Through the above research, analysis, and verification, we found that implementation methods in brand apps based on each brand's value and mission have an effective impact on consumers' brand awareness and experience.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o construct an effective brand app for comprehensive brand image enhancement an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and to propose an integrated brand app structure.*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