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현대 디자인은 전통문화를 재해석하여 대중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경향이 강하다. 루이비통과 쿠사마 야요이의 협업처럼 전통과 현대를 융합하는 시도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중국 묘족의 은장신구는 역사적, 문화적, 미적 가치가 높아 현대적 재해석과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실질적 응용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아르데코 양식을 통해 묘족 은장신구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한다. 아르데코 양식의 주요 특징인 기하학적 패턴, 대칭적 디자인, 다양한 재료 사용 등에 대해 정리하고, 묘족 은장신구의 전통적 디자인을 분석하여 현대적 디자인에 적용할 가능성에 대해 알아본다.

연구결과 묘족 은장신구는 아르데코 양식의 기하학적 패턴과 대칭적 디자인 요소 등을 활용해 현대적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전통 문양을 단순화하고 다양한 재료와 색상을 도입하면 현대적이고 실용적인 디자인으로 발전할 수 있다. 아르데코의 융합성, 대중성, 단순성, 대비성 측면에서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묘족 은장신구는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 현대적 감각을 더한 새로운 디자인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아르데코 양식의 단순화와 다양한 재료의 사용은 묘족 은장신구의 대중성과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계승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디자인과 제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묘족 은장신구뿐만 아니라, 다른 소수 민족 문화의 현대적 계승 및 발전 연구로도 확장될 수 있다.

Background Modern design trends increasingly focus on reinterpreting traditional culture to satisfy diverse public demands. Collaborations like those between Louis Vuitton and Yayoi Kusama highlight the fus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In this context, the silver ornaments of the Chinese Miao people, known for their historical, cultural, and aesthetic value, require modern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However, existing research has no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ractical applications.

Methods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for modern application of Miao silver ornaments through the Art Deco style. It outlines the key features of Art Deco, such as geometric patterns, symmetrical designs, and the use of diverse materials, and analyzes the traditional design of Miao silver ornaments to examine their applicability to modern design.

Result Miao silver ornaments can be reinterpreted in a modern context by utilizing Art Deco’s geometric patterns and symmetrical design elements. By simplifying traditional patterns and incorporating various materials and colors, these ornaments can be developed into modern and practical designs. The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for applying Art Deco’s characteristics of fusion, popularity, simplicity, and contrast to these ornaments.

Conclusion Miao silver ornaments can be redesigned to retain their traditional beauty while incorporating modern elements, creating new interpretations. The simplification and varied use of materials in the Art Deco style can enhance the popularity and practicality of Miao silver ornaments. This approach suggests possibilities for the modern continu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its application in various field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exploring specific design and production methods. This study can extend to the moder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other minority cultures as wel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비자 리뷰를 기반으로 한 중국 차 포장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Chinese tea packaging design based on consumer reviews : application of kansei engineering methods : 감성 공학 방법 적용으로 백철문, 정원준 p. 7-16

(A) design proposal for ‘space-patch’ : patch form fragrances for astronauts in outer space environments Seung Yeon Choi, Hyun-Kyung Lee p. 17-26

컨벤션센터 전시행사폐기물 처리의 ESG경영과 기대성과 및 지속적 활용 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SG management, expected outcomes, and continuous utilization intention of waste management in convention center exhibition 손영희, 나건, 김현선 p. 27-39

공공기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 분석 및 평가·분석 틀 개발 = Analysis of component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and analysis framework for public institution mobile applications : centered on application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 중앙행정기관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김민채, 박상희 p. 41-54

고궁박물관의 문화상품 디자인 속성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sign attributes of cultural products in palace museum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mediated by perceived value of the possessor : 소비자의 자각된 가치를 매개로 하여 맹헌우, 고보형 p. 55-67

(A) comparative study on K-pop and indian music industries : focusing on visual analysis of album cover design Vadlamani Nikhitha, Woon-Hyung Lee p. 69-78

패키지디자인에서 12간지 시각적 상징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influence of visual symbols of the Chinese zodiac in package design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 centering on the Maotai memorial Baekju : 마오타이 기념 백주를 중심으로 위광, 박상희 p. 79-88

통합적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브랜드앱 구성 방안 연구 = Research on brand app composition methods to enhance integrated brand image : focused on brand application of lifestyle brand :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희석 p. 89-102

디자인 중심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다학제적 산학연계 교육 모형 2C-PBL 개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multidisciplinar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education model 2C-PBL through design centered project based learning 박상희, 한희석 p. 103-114

현대 기술을 통한 고전 미술의 재구성 = Reconstructing classical art through modern technology : a research and analysis of image AI via Edward Hopper's works :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을 통한 AI 생성 이미지의 감성연구와 분석 김민경, 손원준 p. 115-124

생성형 디자인 프로그램에 대한 디자이너의 사용 의도 선행요인 탐색 = An identification of antecedents to designer acceptance of generative design tool 안성민 p. 125-138

로고 변화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감성 비교 분석 = Emo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image following logo changes : typeface changes in fashion brand logosl[실은 logos] : 패션 브랜드 로고의 서체 변화 김경은, 손원준 p. 139-150

미래 대응 정책디자인 전략으로서 퓨처스 씽킹(Futures Thinking)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futures thinking as a future response policy design strategy 윤채영, 이명희 p. 151-166

박물관 온라인 플랫폼 영상 콘텐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nline platform video content of museums : focused on videos for public relations : 홍보용 동영상을 중심으로 신호수, 이운형 p. 167-178

대구광역시 기후 인포그래픽스 디자인 제작 = Design of climate infographics in Daegu Metropolitan City 황누리, 이경용 p. 179-188

자세 부하를 줄이기 위한 사용자 중심 농기구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user-centered farming tools for the reduction of postural load 강채우 p. 189-202

골프웨어 브랜드 로고의 시각적 요소 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sual elements of golf apparel brand logo : focusing on the top 30 brands in brand reputation in the Korean market share : 한국시장 브랜드 평판 TOP30 브랜드를 중심으로 박선정 p. 203-216

아르데코 양식을 토대로 한 묘족 은장신구의 현대적 디자인 적용 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pontential of modernizing Miao silver ornaments’ design based on the art deco style 송단, 서정화 p. 217-228

유튜브 유료광고 표시에 대한 인지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id advertisement recognition on YouTube user experience : focusing on female users in 20s and 30s : 20, 30대 여성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슬기, 나재휘, 신영미, 이은진, 윤재영 p. 229-238

팀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협업 갈등 해결 및 평가 서비스 제안 = Proposal for a conflict resolution and evaluation service for team project learning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 대학생과 교수자를 중심으로 김리한, 이주희, 김소민, 남은진, 이재선 p. 239-248

그림책 표지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 요소가 중국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visual elements in picture book cover design on Chinese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 focusing on Korean picture books translated into Chinese : 한국 그림책의 중국어 번역본을 중심으로 서진희, 장미경 p. 249-262

크라우드펀딩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패션·디자인 제품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onsumers purchasing fashion and design products using crowdfunding 최동은 p. 263-278

온라인 플랫폼 기반 웰다잉 서비스 사례연구 = A study on online platform-based well-dying services : focused on paid applications in the Apple App Store : 애플 앱스토어 애플리케이션 유료 서비스를 중심으로 박미래, 김보연 p. 279-288

스마트관광 전략을 통한 경관 및 문화유산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servation for landscape and cultural heritage through smart tourism : focusing on global success cases : 글로벌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서유강 p. 289-298

청소년의 주도적인 꿈과 진로 설계를 위한 동사형 꿈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 디자인 제안 = Development of verb-type dream content and proposal of service design for youth's lead dream and career design :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 중학생을 중심으로 황보혜, 이재선 p. 299-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