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지금까지 통일교육의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는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통일관, 북한관 그리고 통일 교육관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기초로 지역 통일교육의 효과적인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들의 남북통일에 대한 통일관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남북통일은 50년 안에 완성될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으로는 크게 안보 통일관과 남북교류협력 통일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원들의 북한관은 북한 주민에 대한 부분을 제외하고 북한 체제, 북한의 지도부, 북한 경제, 북한 인권, 북한의 미래 등 모든 부분에서 매우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들의 지역 통일교육 교육관은 우선 교육의 핵심 분야는 북한과 통일 분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통일교육은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통일교육 내용의 핵심으로는 북한 주민 실생활 이해와 통일 필요성 인식 등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들의 통일관, 북한관, 통일 교육관으로 볼 때 지역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방식에 있어서는 체험학습방식과 토론과 질의응답 방식의 통일교육이 진행되어야 하고, 특히 지역 통일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부가 통일 관련 프로그램 지원과 북한 및 통일 관련 정보와 자료 지원 등이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김대중 대통령 집권 초기의 일정표 분석을 통한 대통령의 국정 수행 특성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governance through analysis of president Kim Dae-jung's early administration schedule 강효지 p. 1-37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변동 실패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failure of nationalization policy in history textbooks : focusing on policy narrative competition : 정책내러티브 경쟁 관점을 중심으로 박근후, 박용성 p. 39-71

대한민국 초대 이승만대통령의 리더십 = Leadership of Korea's first president Rhee Seung Man 박종관 p. 73-98

군무원의 역할과 제도 변천사를 통해 본 정책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 Through the role of defense civilian personnel and the history of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신상범 p. 99-125

통일교육위원의 통일인식 분석을 통한 지역통일교육의 효율화 방안 = A pla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gional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the unification awarenes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committee members : focusing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Committee members of Chungnam, Daejeon, and Sejong :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을 중심으로 전일욱 p. 127-146

농민운동의 정치세력화에 따른 도소의 연구를 통한 지방자치의 기능 = The function of local autonomy through Doso's research following the political power of the peasant movement 양은석, 주창범 p. 147-171

三峯 仁君제도 분석 = Research on gracious lord(仁君) inistitution of Sambong 이종수 p. 173-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