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지금까지 통일교육의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는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통일관, 북한관 그리고 통일 교육관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기초로 지역 통일교육의 효과적인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들의 남북통일에 대한 통일관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남북통일은 50년 안에 완성될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으로는 크게 안보 통일관과 남북교류협력 통일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원들의 북한관은 북한 주민에 대한 부분을 제외하고 북한 체제, 북한의 지도부, 북한 경제, 북한 인권, 북한의 미래 등 모든 부분에서 매우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들의 지역 통일교육 교육관은 우선 교육의 핵심 분야는 북한과 통일 분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통일교육은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통일교육 내용의 핵심으로는 북한 주민 실생활 이해와 통일 필요성 인식 등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충남, 대전・세종 통일교육위원들의 통일관, 북한관, 통일 교육관으로 볼 때 지역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방식에 있어서는 체험학습방식과 토론과 질의응답 방식의 통일교육이 진행되어야 하고, 특히 지역 통일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부가 통일 관련 프로그램 지원과 북한 및 통일 관련 정보와 자료 지원 등이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