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관의 사회복지사들이 생각하는 기관의 ESG 경영 활동 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최근 ESG 경영이 주요한 사회적 흐름이 되면서 사회복지 분야에서 ESG 도입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3종 복지관(사회, 노인,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에 참여한 308명의 응답 결과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복지관의 ESG 경영 활동 수준 인식은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ESG 경영 활동의 하위요인인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는 모두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비영리 기관인 복지관의 가치 중심 실천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복지관의 ESG 경영 활동은 발전적인 기관운영과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실천의 위기를 겪은 사회복지 현장은 이제 새로운 사회변화에 적응을 요구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에서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복지 ESG 경영의 탐색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으며, 조직몰입과의 관계 확인을 통해 추후 다양한 후속 연구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복지조직 중간관리자의 보수교육 경험 인식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rceptions of continuing education experience on work engagement among middle managers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류주현, 최재성 p. 1-27

ESG는 사회복지 현장의 주요한 흐름이 될 것인가? = Will ESG become a major trend in the social welfare field?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욱재, 한은영, 방준호 p. 29-55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의 직무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job experience of directors of Together Care Centers : focusing on Seoul and the Gyeonggi region :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이진희, 허수연 p. 57-96

Borich 요구도 및 Locus for Focus Model을 적용한 지역 소도시의 1인가구 유형별 정책 우선순위 분석 = Analyzing policy priorities by type of single-person household in a regional small city using Borich Needs and Locus for Focus Model 조한라, 김준수 p. 97-126

사회서비스 공급 컨소시엄 참여기관의 역량변화 탐색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nge in capacity of participating organizations in the social service supply consortium : focusing on the project for diversification of social service providers : 사회서비스 공급주체 다변화 사업을 중심으로 안소영, 조상미, 이대영 p. 127-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