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세기 중반 이후 퇴계 및 율곡 학맥을 계승한 도학 계열의 주요 학자들은 일정한 학문적 성취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펼쳐 학파의 형성을 구체화하였고, 이 학파들은 20세기를 관통하며 학파적 면모를 지속하며 근현대 한국 유학의 중심을 이루었다. 각 학파의 문인들은 유교 전통의 계승에 관심을 기울이며 자신의 학문 연원인 각 학파 종장의 문집 간행을 진행하는 한편, 각 학파 종장의 교유 내용과 직전 제자의 간단한 인명 정보, 그리고 再傳 및 三傳 제자로 이어지는 학파의 면모를 ‘淵源錄’ 혹은 ‘門人錄’이라는 이름으로 간행하여 각 학파의 면모를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강우 지역의 율곡 학맥 주요 학파가 간행한 문인록을 중심으로 문인 현황을 정리하여 강우 지역 유학 지형의 한 면모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강우 지역은 仁祖反正(1623) 이후에 퇴계 학맥뿐만 아니라 율곡 학맥의 이식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이후, 19세기 중반 이후에 이르러 퇴계 학맥의 다양한 학파 이외에 율곡 학맥의 여러 학파 문인이 배출되어 도학 계열 모든 학파의 문인이 배출된 곳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강우 지역에서 배출된 율곡 학맥의 다양한 학파 문인 배출 현황을 검토하고 이들의 대체적인 면모와 활동 등을 검토하는 것은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간행된 율곡 학맥 주요 학파의 문인록 간행 현황과 ‘淵源錄’이라는 이름으로 간행된 문인록의 의미를 대략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 강우 지역에 대한 율곡 학맥의 이식 양상을 17세기를 전후한 시기부터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19세기 중반 이후 본격화하는 율곡 학맥 주요 학파의 문인 배출 양상을 奇正鎭(1798-1879)의 蘆沙學派를 비롯하여 崔益鉉(1833-1906) 중심의 華西學派, 宋秉璿(1836-1905) 형제의 淵齋學派, 田愚(1841-1922)의 艮齋學派를 중심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재전 및 삼전 제자로 이어지며 1천 6백여 명을 상회하는 율곡 학맥의 각 학파 문인이 배출될 수 있었던 배경에 유의한 각 학파 문인 현황 검토를 기반으로 강우 지역 내에 자리 잡은 율곡 학맥의 전체적인 면모를 확인하고, 강우 지역의 율곡 학맥 각 학파의 문인들이 조성한 유학 지형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면모와 그 의미를 시론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省軒 李炳憙의 학문적 연원과 성리학적 특징 = Lee Byeonghee’s academic origins and Neo-Confucian characteristics 金基柱 p. 39-75

退修齋 李炳鯤의 삶과 한시 연구 = Study of the life and poetry of Toesujae(退修齋) Lee Byung-gon(李炳鯤) 李在淑 p. 77-111

私立 正進學校의 설립‧운영과 민족교육의 확산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ivate Jeongjin schools and expansion of national education 吳世炫 p. 113-157

밀양 퇴로리 고건축의 공간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spatial meaning of old buildings in Toero-ri, Miryang 姜貞和 p. 159-188

19세기 이후 강우 지역 율곡 학맥의 학파 형성과 전개 =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various schools of Yulgok’s academic lineage(栗谷 學脈) in the Gangwoo region after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Muninrok(門人錄) of various schools of Yulgok’s academic lineage : 율곡 학맥의 주요 학파 문인록을 중심으로 朴鶴來 p. 189-231

퇴계학맥 문인록을 통해 본 강우 유학의 전개 = The development of Gang-u(江右) Confucianism through the Record of Disciple(門人錄) of the academic lineage of Toegye(退溪學脈) 金知恩 p. 233-282

惕菴 趙瀚奎의 학문과 현실인식론 = A study of academic and reality perception theory of Cheokam Jo Han-kyu 朱康秀, 申한솔 p. 283-321

近代 孔夫子聖蹟圖 연구 = The study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孔夫子聖蹟圖) printed by Cha KyuBeom(車圭範) : 車圭範 간행 『孔夫子聖蹟圖』를 중심으로 曺庭六 p. 323-362

自濡軒 李萬白의 삶과 시 세계 = A study on the life and poetry world of Jayuheon Lee Man-baek 權蘭姬 p.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