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24년 발표된 한국의 소비생활 지표에 따르면 전체 소비자의 10명 중 7명이 디지털 소비를 경험하고 있다. SNS, 숏폼, 클릭 한 번으로 이뤄지는 디지털 쇼핑 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충동구매는 일상화된 소비 관행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디지털 충동구매에 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쇼핑 환경에서 마케팅 자극, 소비자 성격, 추천인의 신뢰성이 충동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일반 소비자의 유효한 308부의 표본을 대상으로 SPSS Win Ver2 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계 처리했으며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케팅 자극의 하위변수 중 심미성이 충동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 성격의 하위변수 중 신경증, 동조성과 쾌락성이 충동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추천인 신뢰성은 경험개방성×추천인 신뢰성, 동조성×추천인 신뢰성과의 사이에서 충동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순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술적으로는 디지털 쇼핑 환경에서 심미성이 충동구매의 자극 요인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동조성과 추천인 신뢰성의 상호작용을 입증하여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입증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건강식품의 시각적 매력을 강화하고 타겟 소비자의 성격에 맞춘 맞춤형 프로모션이 필요하며 신뢰할 수 있고 영향력 있는 상품 추천인을 선별하는 것이 충동구매에 중요함을 밝혔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가의 창업환경(창업가 언론노출도, 창업용이성)이 창업기회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국·미국 국가 간 비교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a country'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entrepreneurial media exposure, ease of starting a business) on the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focusing on a comparison between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최민창, 남정민 p. 1-16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진로탄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의 조절효과 검증 오세나, 김종성 p. 37-58

문화인식도가 창업기회탐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cultural awareness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xplora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exploration tendency : 인지적 탐색성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진익성, 김춘호 p. 59-76

From agency to social impact = 예비창업자의 사회계층과 사회지배지향성이 사회적 기업 창업 효능감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class and dominance orientation on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Kawon Kim, Sooyoun Kristina Zong, Joonho An p. 77-100

중소벤처기업 임직원의 ESG경영 참여의도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Es employees' participation intentions about ESG management : focusing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김우찬, 박재춘 p. 101-121

긍정심리자본이 창업기업 종사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innovative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start-ups employee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job position : 성별, 직위의 조절효과 윤지영, 전병훈 p. 123-143

디지털 쇼핑 환경에서 마케팅 자극과 소비자 성격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impact of marketing stimuli and consumer personality on impulse buying in digital shopping environment :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referrer trustworthiness : 추천인 신뢰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김은경, 하규수 p. 145-169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업종별 창업 현황 및 생존에 관한 실증분석 =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tart-up status and survival of service industries in South Korea 김민창 p. 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