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한국의 이주 배경 학생 대상 공용어 교육 법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국내 이민자가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이주 배경 학생에 대한 공교육 강화의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2003년 「초·중등교육법」 개정을 통해 교육법 체계 내 이주 배경 학생에 대한 교육 지원 근거가 마련되었으나, 향후 세부적인 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주 배경 학생 대상 공용어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고, 미국의 이주 배경 학생 대상 교육 법제도의 발전 연혁을 정리한다. 미국의 이주 배경 학생 대상 교육 관련법은 연방법과 주법 모두에서 규율되고 있으므로 이 논문에서도 연방법과 주법에서 그것을 어떻게 구체화하는지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우리나라의 이주 배경 학생 대상 교육 관련법을 살펴본다. 다만 미국과 우리나라의 법령 체계가 다르고 현재 우리나라가 이주 배경 학생 대상의 공용어 교육에 대해 세부적으로 규정하지 않으므로 미국과의 비교 분석을 위해서 교육 정책으로 제시된 내용 중 일부를 함께 검토한다. 마지막으로는 위 내용을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여 한국의 교육 법제도 개선에 함의하는 바와 시사점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legal systems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o draw implications. As the number of immigrants in Korea is rapidly increasing, there is a visible movement to strengthen publ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lthough the amendment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2003 provided a basis for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within the education law system,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educational measures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nd outlines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education legal system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education laws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 the United States are governed by both federal and state laws,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they are implemented in federal and state laws. Next, the study examines the education-related laws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 Korea. However, since the legal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re different, and Korea currently does not specifically regulat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some of the contents presented as education policies are also reviewed for comparison with the United States. Finally, the above content is reviewed from a comparative law perspective to prese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s education legal syste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권보호를 위한 공무상 재해의 증명책임 전환 규정 필요성에 대한 고찰 =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of the regulation on the conversion of burden of proof on an accident in the line of duty for the protection of educational authority : based on cases of teachers' self-hurt behavior due to disturbance of educational authority, and the positions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n the burden of proof of occupational accident : 교권침해로 인한 교사들의 자해행위 사례들과 업무상 재해의 증명책임에 대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각 입장을 중심으로 이정민 p. 1-22

학교자치 입법정신의 규명과 제도보장 분석 = An analysis of the legislative spirit on school autonomy and its system guarantee 고전 p. 23-47

교육발전특구의 법적 쟁점과 과제 = A study on legan issues and challenges of education development zone 김용 p. 49-67

특별자치와 교육자치의 쟁점 = Issues of special autonomy and educational autonomy : focusing on the Special Autonomy Acts of the four cities and provinces : 4개 시·도 특별자치법을 중심으로 이병현 p. 69-91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교육 혁신과 입법적 대응전략 = Generative AI-based education innovation and legislative response strategies 이형석 p. 93-120

디지털 시대와 축소사회 도래에 따른 고등교육법 개정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s for Amending Higher Education Act in response to the digital era and the emergence of a contracting society 이형석, 장덕호, 이덕난, 황준성, 김종규, 손다운 p. 121-150

학교 내 성중립화장실 설치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need for gender-neutral restrooms in schools : implications of the U.S. case : 미국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박종훈 p. 151-174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연계의 법적 쟁점 분석 = An analysis on the legal issues of the EBS-linked KSAT policy : focusing on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김리나, 엄문영 p. 175-203

이주 배경 학생 대상 공용어 교육 법제도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legislation o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n immigrant background : 미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슬기, 김지혜 p. 205-240

교육당사자의 법적 갈등 양상 분석 = Analyzing legal conflicts among educational stakeholders in South Korea :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legal precedents : 초등학교 판례를 중심으로 김지연 p. 241-265

다문화교육 관련 법의 연혁 동향 분석 = Analysis of historical tren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laws 이주연, 양정호 p. 267-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