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20년대 새롭게 제기되는 유토피아는 그동안 외부와 단절되고 격리된 공간에서 탈피하여 현실 세계에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유토피아의 개념도 다시 정립될 필요가 있다. 루이스 멈퍼드는 유토피아 안에 들어 있던 어디에도 없는 곳 ‘오우토피아’와 좋은 곳을 뜻하는 ‘에우토피아’에서, ‘에우토피아’를 따로 불러내어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으로 제시한다. 본 논문은 2000년대 유토피아 밖으로 나가 추구하고자 하는 에우토피아(좋은 곳)가 ‘유토피아’와는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구 끝의 온실』에서 유토피아 세계인 ‘프림 빌리지’보다 ‘프림 빌리지’에서 이들이 왜 밖으로 나가고자 하는지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2020년대 에우토피아를 재건한 주체와 사람들을 ‘에우토피안’이라고 할 때, 이들은 유토피아 건설의 주체와 그 안에서 살았던 사람들인 ‘유토피안’과는 어떻게 다른지도 함께 고찰해보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정의 독서교육에 대한 양육자의 문제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critical awareness of caregivers regarding reading education at home 권이은 p. 7-39

한국어 상대 높임법 체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 A new approach to the addressee honorific system of Korean 신지영 p. 41-85

일제강점기 비교-역사언어학과 홍기문의 조선어 연구 = Comparative-historical linguistics and Hong Gimoon's Korean language stud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허재영 p. 87-122

문학 교육 제재로서 서정주 시 연구 = A study of Seo Jeong-ju's poetry as a literary education material 송미진 p. 123-151

김소진 소설 「자전거 도둑」의 아이러니 교육방안 연구 = A study on ways for educational application of irony in the novel Bicycle Thief by So-Jin Kim : focusing on junior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권시연 p. 153-195

2020년대 현실에서 찾는 더 나은 곳 ‘에우토피아’ = 'Eutopia' as a better place in the real world of the 2020s : focusing on Kim Cho-yup’s The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중심으로 최애순 p. 197-228

질문을 활용한 ‘맥락’의 이해 방안 = How to understand ‘context’ through questions : applied to the classical prose Eunaejeon : 고전 산문 <은애전>에 적용하여 고지선 p. 229-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