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약용자원연구소 연구 포장에 재배 중인 갯기름나물에서 흰비단병이 발생하였다. 갯기름나물의 잎자루 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어 서서히 시들면서 결국 포기 전체가 말라 죽는 병징을 보였다. 잎자루의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감자 한천 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고 갈색의 작고 둥근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균핵의 크기는 1-3 ㎜이며 균사의 폭은 4-9 ㎛였다. 균사 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30℃이었고 균사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병원성 검정을 수행하였고 인공감염과 원인 곰팡이의 재분리를 통해 Koch의 가설을 만족하였다. 분자 동정을 위해 원인 곰팡이의 전체 ITS rDNA 서열을 분석하고 계통 발생 관계를 분석하였다. 갯기름나물에서 분리한 곰팡이는 A. rolfsii의 참조 균주를 포함하는 clade r-2 그룹에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고, A. rolfsii 특이적 PCR 진단을 수행하여 540-bp PCR 산물 생산을 확인하였다. 균학적 특성, ITS rDNA 염기분석, 종 특이적 PCR 분석 및 숙주 식물의 병원성으로 이 곰팡이를 Athelia rolfsii로 동정하였다. 이 연구는 A. rolfsii에 의한 갯기름나물의 흰비단병에 대한 세계적으로 첫 번째 보고에 해당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xpression analysis of sweetpotato ACC oxidase genes under various abiotic stress conditions Hyun Ji Kim, Yun Hee Kim p. 1-6

Athelia rolfsii에 의한 갯기름나물 흰비단병 발생 = Outbreak of southern blight of coastal hog fennel caused by Athelia rolfsii 최옥희, 이예영, 노하은, 이정규, 김동한, 하지은, 강동완, 한인영, 김진우 p. 7-13

농촌여성노인의 정신건강 증진 목적 농장방문형 치유농업 효과 파일럿 연구 = A pilot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farm visit-type agro-healing program to improve for mental health of rural elderly women 김용현, 이신자, 허무룡 p. 15-22

한국산 여로속(Veratrum L.) 서식지의 식물 및 토양특성 = Ecophysiological study of Korean Veratrum plants 이소영, 제민지, 제상훈, 강신구, 노지원, 심윤진, 성정원 p. 23-29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구절초의 Linarin, Chlorogenic Acid 추출 조건 최적화 = Optimization of linarin, chlorogenic aci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최대호, 정은숙, 강정목, 박용우 p. 31-36

Enhanced enzymatic hydrolysis of waste wood by steam explosion and alkaline peroxide delignification Si Young Ha, Hyeon Cheol Kim, Woo Seok Lim, Jae-Kyung Yang p. 37-45

백두대간보호지역 영취산의 식생구조 = Vegetation structure of Mt. Yeongchwi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박병주, 김지동, 허태임 p. 47-56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잎의 Chlorogenic Acid와 Hesperidin 정량분석을 위한 HPLC-DAD 분석법 개발 및 평가 = Validation of HPLC-DAD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hlorogenic acid and hesperidin in Zanthoxylum schinifolium leaves extract 강주영, 노혜령, 김봉규 p. 57-64

열처리가 데크용 수입 목재의 색상 및 경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color and hardness of some imported wood species for decking 나종범 p. 65-75

Leuconostoc citreum에 의한 발효마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 Dietary effects of fermented garlic by Leuconostoc citreum on egg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laying hens 이아란, 김수기 p. 77-83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한 실험 돈사 내 온도 예측 = Prediction of indoor temperature in an experimental pig barn by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서은완, 강대영, 전성우, 니바스 뎁 찬드라, 아룰모지엘렌체쟌, 김대현, 김현태 p. 85-92

정제염 및 식초를 이용한 버블 침지 세척이 배와 감의 미생물 저감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bubble immersion washing with salt and vinegar on microbial reduction of pears and persimmons 박채은, 이교연, 강지연, 윤희수, 최성길 p. 93-99

국내산재-남양재로 제조된 직교형적층패널의 물리적 특성 = The physical properties of cross-laminated wood panels made with tropical hardwoods and domestic temperate woods 차민성, 고준호, 김동헌, 고상훈, 박한민 p. 101-107

농경지 표토 거칠기 측정을 위한 무인비행체(UAV) 활용 = Assessment of soil surface roughness using UAV 정은지, 박재성, 김동석, 송지수, 황현정 p. 109-118

축산물 이력추적성과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 = Consumer preference of traceability and origin in livestock products 문동현, 조동형, 김경필 p. 119-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