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초기 문해력 시기에는 쓰기 지도를 하기 위해서 받아쓰기와 같은 시험을 통하여 교사의 경험적 판단에 의존한 철자 위주의 지도를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장교사가 일반 아동의 초기 문해력 쓰기 지도를 위해서 손글씨 쓰기 과정 관찰, 손글씨 모양을 통하여 쓰기 부진 원인을 쉽게 파악하고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먼저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관찰 평가 기준에 의하여 쓰기 우수, 보통, 부진 집단으로 구분한 후, 제시된 테스트 어휘에 대하여 보고 따라쓰기를 하여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고 손글씨를 수집하였다. 사전 평가집단별 초기 문해력 쓰기 활동의 관찰 항목으로는 연필 잡는 자세, 쓰는 자세, 자형, 글자 크기, 필순, 철자법, 속도와 같은 항목들이 고려되었다. 이를 토대로 초기 문해력 쓰기 학습 부진 학생들의 주된 특징과 문제 요인을 찾아봄으로써, 쓰기 부진을 막기 위해 지도해야 하는 우선 고려항목으로 연필 잡는 자세와 필순을 도출했다. 또한 쓰기 부진 학생들은 자형, 글자 크기, 철자법, 속도에서도 낮은 성취도를 보여, 자형과 크기 등의 병행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집된 손글씨 이미지의 자형 특징을 분석하였는데, 쓰기 부진 학생의 경우 이중모음이 자음을 침범하는 경우가 많고 반복되는 자음 ㅇ이 불규칙한 것을 관찰하였다. 초기 문해력 쓰기 지도를 위하여 효과적인 방법을 학생들과 교사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 및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in the process of writing social studies textbooks 박윤경, 김재근, 김지훈, 유소현, 이주영 p. 1-29

초기 문해력 쓰기 부진 일반 아동의 따라 쓰기 활동 분석 = An analysis of coyping activities in children with early literacy writing difficulties 한정혜, 김현숙 p. 31-51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정치적 중립 관련 준거와 교육적 함의 =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eacher's political neutrality in social studies class with controversial issues 구정화 p. 53-78

초등 임용시험 도덕과 문항 분석 = A critical analysis of the initial examination for the sele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focusing on moral education in the school year 2017~2024 : 2017~2024학년도를 중심으로 이재호, 박대호 p. 79-96

학생선수 최저학력제 정책분석 = Student-athlete minimum academic standards policy analysis : based on a cooper's four-dimensional framework :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기반으로 국민준, 박대원 p. 97-122

초기 문해력 측정 검사 도구 설계 = Designing an early literacy assessment tool 심영택, 한정혜 p. 123-148

협동미술수업을 통한 중고등학생 스트레스 감소 전략 = Proposals on strategies to reduce stress among domestic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art education : focusing on improving cooperative art activities : 또래 간 갈등 해결 중심으로 김예임 p. 149-164

초등 예비교사 대상 해외 한국어교육 실습 프로그램 연구 = A study of overseas Korean teaching practicum program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focusing on teaching in Uzbekistan :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혜, 오지혜 p. 165-198

니부어의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의 함의에 관한 곡해 및 오독 = Misunderstanding and misreading of the implications of Niebuhr's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 reflections on public education's interpretation of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 공교육에서의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의 의미 이해 실태와 관련하여 선우현 p. 199-218

좋은 수업 실행을 위한 초등교사의 요구 분석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to implement good teaching practices 박희진 p. 219-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