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과 읽기부진 아동의 수학 문장제 및 수학 어휘력 수행도를 비교함으로써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수학 문장제 수행능력 예측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문장제 및 수학 어휘력과 관련된 검사지를 제작하여 타당도와 난이도를 검토한 후,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중인 읽기부진 아동 60명, 일반아동 60명 총 12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읽기부진 아동의 수학 문장제 및 수학 어휘력 과제 수행도는 일반아동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문장제 수행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는 연산기호, 수학 단위, 답 쓰기, 구문 이해, 식 쓰기 등의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수학 문장제 검사 문항의 오반응 유형과 오류율을 분석한 결과, 일반아동과 읽기부진 아동 모두 식 쓰기와 답 쓰기에서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이는 읽기부진 아동을 대상으로 구문 이해 능력 및 수학 어휘 등 언어적 요인에 대한 중점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이를 토대로 수학 문장제와 관련된 언어적 이해를 돕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the performance of mathematical word problems among elementary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by comparing their performance with that of general students. We developed and validated test items related to mathematical word problems and mathematical vocabulary, and administered these tests to a total of 120 students: 60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and 60 general students, all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scored lower on both mathematical word problems and mathematical vocabulary task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Th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n mathematical word problems were identified as the use of operation sign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units, writing answers, understanding syntax, and writing equations. The analysis of incorrect responses and error rates showed that both general and reading-challenged students exhibited high error rates in writing equations and answers. This suggests the need for targeted instruction focusing on language-related factors, such as syntax comprehension and mathematical vocabulary,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programs that support language understanding related to mathematical word problems.